균형장애·현훈·실신···어지럼증 유형별 원인 분석
두통·팔다리 마비 동반되면 신경과 방문 필수
어지럼증은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하는 흔한 증상이지만,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심각한 뇌 질환의 신호일 수도 있다. 따라서 증상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건강칼럼은 서울서남병원 신경과 윤영신 과장의 의학 자문을 통해 어지럼증의 원인과 대처 방법을 자세히 살펴본다.
신경과를 찾는 환자 중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으며, 증상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대표적으로 △빙빙 도는 느낌이 드는 현훈, △걸을 때 비틀거리는 균형장애, △기절할 것처럼 아득해지는 실신성 어지러움 등이 있다.
현훈은 환자 자신이나 주변이 움직이는 것처럼 느껴지는 증상으로, 주로 머리를 움직일 때 악화된다. 이는 귀의 평형기관 이상이나 뇌 질환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원인 질환으로는 이석증, 전정신경염, 메니에르병 등이 있다.
균형장애는 눕거나 앉아 있을 때는 증상이 없다가 일어나 걸을 때 균형을 잡기 어려운 상태를 말한다. 이는 뇌나 척수 병변, 다리 신경 문제 등과 관련이 있으며, 뇌졸중이나 소뇌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실신성 어지러움은 의식을 잃지는 않지만 기절할 것처럼 아득해지거나 눈앞이 캄캄해지는 증상으로, 창백해지고 식은땀이 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심장 문제, 저혈압, 저혈당, 과도한 혈압약 복용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머리가 띵하고 몽롱한 느낌이나 공중에 뜬 듯한 느낌이 드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정신적 스트레스나 특정 약물 복용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어지럼증이 있을 때는 뇌의 문제인지 감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두통 △균형 장애 △의식 변화 △팔다리 마비 △언어 장애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된다면 즉시 신경과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 이러한 증상은 뇌졸중이나 뇌종양 등 심각한 뇌 질환의 전조증상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어지럼증은 수일 내로 완화되지만, 만성적이거나 재발하는 경우에는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 특히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어지럼증이 있다면 단순한 빈혈이나 저혈압 때문이 아니라 신경계 이상일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윤영신 과장은 “어지럼증은 원인이 매우 다양하고 증상의 양상도 개인마다 차이가 있어 자가진단이 어렵다”며 “전문의 진료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특히 갑자기 심한 어지럼증이 발생하거나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된다면 지체 없이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서울서남병원 건강칼럼은 시민들의 건강한 삶을 위해 다양한 질환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며, 앞으로도 전문의 자문을 바탕으로 실용적인 건강 정보를 전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