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계 소식] 2월 4일
[제약업계 소식] 2월 4일
  • 김동희 기자
  • 승인 2025.02.04 09:58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아ST, 세계 최초의 두타스테리드·타다라필 성분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 ‘듀타나 정’ 품목허가 획득

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정재훈)는 세계 최초의 두타스테리드와 타다라필 성분을 복합한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 ‘듀타나 정’의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4일 밝혔다.

듀타나 정은 두타스테리드 0.5㎎과 타다라필 5.0㎎의 복합제로 중등도 이상의 양성 전립선 비대증 치료에 효능·효과가 있다. 1일 1회 1정을 경구 복용하면 된다.

동아에스티의 듀타나 정은 국내 19개 병원에서 48주간 양성전립선비대증 환자 654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두타스테리드 및 타다라필 단일제와 비교한 임상 3상에서 Total IPSS(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국제 전립선 증상 점수)가 우월하게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전립선 비대증은 전립선이 비정상적으로 커지면서 요도를 압박함으로써 소변 배출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질환으로 50대 이상의 남성에게 주로 발생한다. 전립선이 커지면서 소변 줄기가 약해지고, 잔뇨감, 빈뇨, 야간뇨 등의 배뇨 장애 증상이 나타난다.

동아에스티 관계자는 “듀타나 정은 세계 최초의 두타스테리드와 타다라필을 복합한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로 단일제 대비 우수한 증상 개선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한 혁신적인 치료제다”며 “듀타나 정을 조속히 출시해 전립선 비대증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하고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갈더마코리아㈜ 세타필, 모이스춰라이징 로션 국내 누적 판매 ‘3천만개’ 돌파

갈더마코리아㈜(대표이사 이재혁)는 자사의 더마 브랜드 세타필의 대표 제품 ‘모이스춰라이징 로션’이 소비자들의 꾸준한 사랑에 힘입어 국내 누적 판매량 3천만개를 돌파했다고 4일 밝혔다.
 
세타필은 78년 역사의 견고한 피부과학 기술력을 바탕으로 전 세계인의 민감 피부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갈더마의 대표 페이스 & 바디 더마 브랜드다. 1947년 출시 이후 4만2075명을 대상으로 한 889건의 방대한 임상시험을 통해 제품의 안전성과 효과를 입증해 왔다. 

세타필은 바디케어 라인부터 페이셜케어, 베이비케어, 병의원 전용 프로 라인까지 폭넓은 제품군을 통해 민감 피부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며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고 있다. 이러한 신뢰를 바탕으로 세타필은 2012년부터 2024년까지 13년 연속 바디보습 대한민국 베스트 화장품 부문 1위를 차지하며 국민 바디보습 제품으로 자리매김했다.
 
세타필 바디케어 라인을 대표하는 ‘모이스춰라이징 로션’은 11가지 유해 화학 성분을 배제해 민감 피부에도 안전한 저자극성 제품이다. 피부 건조함 개선에 탁월한 ‘판테놀’과 피부결과 피부 장벽 강화에 도움을 주는 ‘나이아신아마이드’ 등 검증된 성분들의 시너지로 단 7일 만에 약해진 피부 장벽을 97% 개선하는 효과를 입증했다. 

또한 48시간 동안 유지되는 강력한 보습력을 통해 건조하고 민감한 피부도 오랜 시간 동안 건강하게 케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뿐만 아니라 세타필 모이스춰라이징 로션은 가벼운 텍스처와 부드러운 발림성, 빠른 흡수력으로 끈적임 없이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한다. 까다로운 피부과 테스트를 완료한 순한 성분으로 설계돼 얼굴부터 바디까지 온 가족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갈더마코리아 이재혁 대표이사는 “세타필 모이스춰라이징 로션이 3천만 개 판매를 달성할 수 있었던 것은 78년간 쌓아온 피부과학 기술력과 민감 피부를 가진 사람들의 피부 개선을 위해 힘쓰겠다는 브랜드의 진정성을 신뢰해 주신 소비자들 덕분”이라며 “앞으로도 세타필만의 독보적인 피부 과학 노하우를 바탕으로 다양한 민감 피부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대웅바이오, 고혈압 치료제 ‘텔미사르탄군’ 리뉴얼 후 매출 100억 돌파

대웅바이오는 고혈압 치료제 ‘트윈베타’와 ‘텔미베타’ 시리즈가 리뉴얼을 통해 지난해 연매출 100억원을 달성했다고 4일 밝혔다.
 
트윈베타와 텔미베타는 ‘텔미사르탄’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고혈압 치료제로 지난해 리뉴얼을 통해 기존 PTP(Press Through Pack) 방식의 개별포장에서 병포장 형태로 복약 편의성을 개선하면서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PTP는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한쪽이 볼록하게 튀어나오도록 개별 포장한 방식이다.
 
지난해 리뉴얼에 따라 텔미사르탄 라인업은 한 개의 약포지에 다른 약제와 동봉이 가능해졌다. 이는 별도의 PTP 포장을 뜯어야 하는 수고로움을 덜어냈고, 복용 편의성을 높였다는 평가다. 그간 고령의 환자나 다수의 약제를 한꺼번에 복용하는 고혈압 환자의 경우 약제를 일일이 나눠 복약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어 왔다.
 
리뉴얼한 제품은 수분을 흡수하는 성분 특성 때문에 개별포장이 필요했던 기존 제형의 문제점을 지속적인 연구 개발과 개선 노력을 통해 극복한 것이 특징이다. 두 제품 모두 습기에 강한 정제로 변경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텔미사르탄은 고혈압 치료제 시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성분으로 혈관을 수축시키고 체내 수분량을 증가시키는 안지오텐신2 수용체를 차단해 혈관을 확장시키고, 체내 수분량을 감소시켜 혈압을 낮춰준다. 뛰어난 혈압강하 효과와 긴 반감기로 주목 받는 의약품이지만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 때문에 안정성을 유지하려면 개별 포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텔미사르탄군 리뉴얼은 꾸준히 지속 복용해야하는 고혈압 치료제의 특성상 편의성 개선 효과가 높고 특히, 다약제 복용 환자와 고령 환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는 게 대웅바이오 측 설명이다.
 
대웅바이오 고재호 PM(Product Manager)은 “텔미사르탄 성분은 습기에 취약해 복용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었다”며 “리뉴얼 제품은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제형 개선 노력을 통해 병포장에서도 안정성이 유지돼 텔미사르탄의 강점을 유지하면서도 복약순응도를 높여 환자들의 혈압 관리를 돕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현재 대웅바이오의 텔미사르탄 라인업에는 ARB+CCB 복합제인 ‘트윈베타’, 단일제 ‘텔미베타’, ARB+이뇨제 복합제 ‘텔미베타플러스’가 있으며, 환자 맞춤형 치료를 위해 ARB+CCB+이뇨제 3제 복합제도 개발 중이다. 대웅바이오는 이를 통해 고혈압 환자들의 삶의 질을 더욱 높여 나갈 계획이다.


■조아제약, 마시는 간장약 '헤파토스시럽' 신규 라디오 광고 진행

조아제약이 간장 활성화제 ‘헤파토스시럽’의 신규 라디오 광고를 온에어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라디오 광고는 ‘간을 위한 한 포, 헤파토스시럽’이라는 콘셉트로, 지난 2월 1일부터 SBS 파워FM(107.7MHz)과 SBS 러브FM(103.5MHz)의 대표 프로그램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시간대에 전국으로 송출 중이다. 

야근하는 동료를 챙기는 직장인의 마음을 광고로 녹여냄과 동시에 '토스'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제품명을 강조했다는 게 조아제약 측 설명이다.

헤파토스시럽은 '지친 간(Hepatic)에 새로운 힘을 올려 준다(Toss)'는 의미를 가진 간장 활성화제로서, 1997년 출시된 ‘헤포스시럽’의 리뉴얼 제품이다.

아르기닌(Arginine), 베타인(Betaine), 구연산(Citric acid) 세 가지 성분의 상승효과로 간세포를 보호하고 간 기능 개선 작용으로 간 질환의 보조 치료에 효과적인 일반의약품이다. 액제로서 간의 에너지 합성과 해독 작용 등에서 빠른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특징이다. 

조아제약 관계자는 “헤파토스시럽은 20mL 사면포, 400mL 덕용 포장, 20mL 더블넥 앰플 등 다양한 포장 형태로 구성되어 소비자의 복용 목적이나 선호에 따라 선택해 복용할 수 있다”며 “모임이나 회식 자리가 잦은 현대인들의 활력 증강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헤파토스시럽은 1일 10~30mL를 약 반 컵의 물에 희석해 식간에 분할 복용한다.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제품에 대한 사항은 조아제약 고객상담실에 문의하면 된다.


■팬젠, 2024년 매출 전년比 101% 껑충···역대 최대

㈜팬젠(대표 윤재승)은 2024년 개별재무제표 기준으로 전년 대비 101% 성장한 매출 146.7억원, 영업이익 10.2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했다고 4일 밝혔다.

팬젠은 바이오의약품 생산용 세포주 개발 원천기술과 생산공정 확립에 대한 노하우를 기반으로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서비스를 제공하고 바이오시밀러를 제조 및 판매하는 회사다.

팬젠은 바이오의약품인 에리트로포이에틴(EPO) 성분의 바이오시밀러 판매 부문과 위탁생산(CMO) 등 모든 사업 영역에서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EPO사업은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국가에 대한 수출이 늘고 사우디아라비아, 튀르키예 등에서 본격적인 수출을 전개하며 실적이 증가했다. 회사 측은 향후 중동 및 아프리카 등으로 지속적인 매출 성장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CMO사업 부문은 휴온스글로벌 자회사인 휴온스랩으로부터 인간 유래 히알루로니다제 원료 생산 수주를 받으며 매출이 증가했다. 팬젠은 우수 의약품 제조·품질 관리기준(GMP) 공장을 활용해 지난해부터 ‘HLB3-002(인간 유전자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의 임상 시험용 원료의약품을 위탁생산하고 있다.

팬젠은 올해도 바이오시밀러 EPO제품의 해외마케팅을 강화하며 국내외 매출을 증대하고 신규 CMDO사업 확대를 통해 지속적인 실적 성장세를 이어 나갈 계획이다.

펜젠은 생산용 세포주 확립을 위한 특허 기술인 ‘PanGen CHO TECH’를 바탕으로 40종 이상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동물세포주를 자체 구축했다.

이를 기반으로 50건 이상의 국내외 세포주 개발, 공정개발 기술이전을 진행했다. 특히, 질병관리청 연구용역인 살인진드기로 인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치료용 항체 개발용역을 2023년부터 수행하고 있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매년 환자 수가 증가하는 추세다. 치사율이 20%대 수준으로 높아 치료제의 개발이 매우 시급한 감염질환 중의 하나다.

팬젠은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 및 일본을 통틀어 살인 진드기 감염병 치료용 항체 신약을 대표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팬젠 윤재승 대표는 “지난해 매출 성장세에 힘입어 흑자전환에 성공했다”며 “올해도 바이오시밀러 EPO수출 판로를 넓히고 신규 CDMO 계약을 수주해 바이오의약품 전문제약회사로서 지속 성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삼양홀딩스, 국제미용성형학회 ‘IMCAS World Congress 2025’에서 리프팅 실 ‘크로키’ 심포지엄 개최

삼양홀딩스 바이오팜그룹(사장 김경진)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미용성형학회 ‘IMCAS(International Master Course on Aging Science) World Congress 2025’에서 리프팅 실 ‘크로키’의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대한성형외과학회 최소침습성형연구회(MIPS) 이원 학회장과 브라질 피부과 전문의 클라라 산토스(Clara Santos) 박사가 연자로 참석해, ‘완벽을 향한 도약: 다층 리프팅 및 PDO 실을 활용한 팔자주름 개선(Elevate to Perfection: Multilayer Lifting & New Approach for NLF using PDO threads)’을 주제로 크로키를 활용한 최신 시술법과 사례를 소개했다.
 
다층 리프팅(Multilayer Lifting)은 두 종류의 리프팅 실을 피부의 각기 다른 층에 적용해 지방 재배치 효과를 극대화하는 기법으로, 실의 종류와 조합 및 환자의 피부 상태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두 연자는 다층 리프팅 시술 기법과 팔자주름 개선을 위한 시술법을 공유하고, 환자의 피부 상태에 맞는 최적의 크로키 조합과 시술 결과를 소개했다. 이날 심포지엄 참석한 의료진들은 제품과 시술 사례에 대해 문의를 이어가며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클라라 산토스 박사는 “크로키는 실제 현장에서 시술 했을 때 효과와 안전성 측면에서 환자와 의료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결과를 제공한다”며, “앞으로도 더 많은 사례를 축적해 새로운 지식과 노하우를 전 세계 의료진과 공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크로키는 고분자물질인 폴리디옥사논(PDO)을 주성분으로 생체 적합성과 안전성을 갖췄으며, 2019년 유럽 의료기기 지침인 CE 인증을 받은 리프팅 실이다. 실의 모양과 용도에 따라 모노, 스크류, 볼륨, 컷팅, 몰딩 5종이 출시되었으며 현재 유럽, 일본, 중남미 등 전 세계 29개국에 수출하고 있다.
 
삼양홀딩스 관계자는 “이번 IMCAS World Congress 2025 심포지엄을 통해 입증한 제품력과 안전성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진출 국가를 확대하고 시장점유율을 높여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메디톡스, 국제미용성형학회 ‘IMCAS 2025’ 참여···다양한 행사 통해 글로벌 인지도 확대

바이오제약기업 메디톡스(대표 정현호)는 지난달 30일부터 1일(현지 시간)까지 3일간 파리에서 열린 국제미용성형학회(IMCAS World Congress 2025)에 참석했다고 4일 밝혔다.

IMCAS는 전 세계 피부과, 성형외과 전문의 등 의료진과 업계 종사자들이 최신 트렌드와 기술, 노하우를 발표하고 지견을 공유하는 세계적인 미용성형학회로 올해 130여개국, 약 1만 8천여명의 업계 관계자들이 참가했다.

메디톡스는 첫째 날, 부대 행사로 17개국 파트너사를 초청해 ‘Medytox Night’을 개최했다. 이어 마지막 날까지 각국 파트너사들과의 개별 미팅을 통해 현지 매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다. 해당 미팅에는 유럽, 중동, 라틴아메리카 등 총 18개사가 참여했으며, 지난해 초 메디톡스와 대규모 보툴리눔 톡신 제제 공급계약을 체결한 브라질 제약사 블라우(BLAU FARMACÊUTICA S.A.) 등도 참석해 향후 공급 계획과 마케팅 활동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둘째 날인 31일에는 정현호 대표가 ‘라 트리뷴(La Tribune)’ 세션에 패널로 참석해 최근 시장 트렌드와 타입별 보툴리눔 톡신 제제 전략에 대해 토론하고, 메디톡스의 액상형 보툴리눔 톡신 제제 런칭 계획과 미국, 유럽 등 해외 진출 전략을 공개했다.

마지막 날에는 ‘보툴리눔 톡신 제제 파이프라인과 미래’라는 주제의 강연을 통해 메디톡스가 구축한 보툴리눔 톡신 제제 라인업을 선보이고, 출시를 앞두고 있는 제품들에 대한 과학적 정보를 전달하는 시간도 가졌다.

메디톡스 관계자는 “세계적인 미용성형학회인 IMCAS 참석은 메디톡스의 다양한 톡신 제제를 소개하고 우수성을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며 “향후 독보적인 제품력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전용구 2025-02-04 14:49:39
비아그라 시알리스 1+1 이벤트 파는곳 추천

http://bb7.kr

방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