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팜 미 자회사 ‘프로테오반트’, 차세대 TPD 영역 분자 접착제 연구 성과 발표로 차별화 제시
SK바이오팜의 미국 R&D 자회사 프로테오반트(Proteovant Therapeutics)가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열리는 ‘디스커버리 온 타겟 2023’(Discovery on Target 2023)에서 표적단백질분해 기술(Targeted Protein Degradation, TPD) 분야의 최신 연구 결과를 현지 시각 27일~28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발표에서 프로테오반트는 분자 접착제(Molecular glue, MG) 발굴 혁신 플랫폼인 MOPED™(분자 접착제 스크리닝 플랫폼)와 면역 항암 타겟인 ‘IKZF2’에 대한 선택적 분자 접착제의 우수한 약물성 및 전임상 효력 결과를 최초 공개한다.
MOPED™는 오작동하는 단백질을 파괴하고 암세포를 죽이거나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분자 접착제를 찾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분자 접착제(Molecular glue)는 기존 PROTAC 대비 분자량이 작은 물질로 표적단백질 분해가 가능하여 개선된 약물성 확보를 기반으로 개발 가속화 및 적용 질환 확장을 기대할 수 있는 차세대 TPD 영역이다.
SK바이오팜과 프로테오반트는 표적단백질분해 기술(TPD)연구와 MOPED™를 통해 기존에 치료제가 없던 표적에 작용할 수 있는 best-in-class 및 first-in-class 분해제를 발굴 및 개발 중이다.
SK바이오팜은 최근 새로운 ‘Financial Story’를 발표하면서, 새로운 모달리티(Modality, 치료 방법론) 중 하나로 TPD를 천명한 바 있다. TPD 기술은 체내 단백질 분해 시스템을 이용해 질병의 원인이 되는 표적단백질을 제거하는 기술로, 차세대 신약개발 플랫폼 중 가장 큰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는 분야 중 하나다. 이를 위해 SK바이오팜은 지난 7월 프로테오반트를 인수하였으며, 해당 인수를 통해 단번에 글로벌 수준의 TPD 연구 개발 역량을 확보했다.
SK의 투자 역량과 SK바이오팜의 신약개발 역량이 합쳐 양사의 시너지를 통해 TPD 유망 영역에서 새로운 기회를 만들면서 구체적인 연구 성과가 나오고 있다.
SK바이오팜 이동훈 사장은 “프로테오반트를 통해 암 치료를 위한 새로운 분자 접착제 연구 성과를 공유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한 최고의 TPD 기술을 바탕으로 연구 역량 글로벌화와 혁신 플랫폼 기술 개발을 가속화해 차세대 TPD 영역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프로테오반트의 발표를 포함해 ‘디스커버리 온 타겟 2023’에서 공유될 모든 연구 리스트 및 소개는 행사 공식 홈페이지 (https://www.discoveryontarget.com/) 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독, 담도암 치료제 HDB001A 글로벌 2/3상 임상시험계획서 제출
한독(대표이사 김영진·백진기)이 지난 26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담도암 환자 대상 ‘HDB001A’ 글로벌 2/3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제출했다.
한국 임상은 미국 바이오벤처 콤패스 테라퓨틱스가 FDA에서 IND 승인을 받고 현재 진행중인 글로벌 2/3상에 참여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한독은 콤패스 테라퓨틱스와 HDB001A의 담도암 치료제 개발에 협력하고 있으며 담도암 환자 대상 한국 임상 2상을 진행해 글로벌 임상으로 확대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한독은 이번 임상 참여를 통해 대규모 환자를 대상으로 한 HDB001A의 유효성과 안전성 데이터를 확보하여, 이를 추후 허가 신청에 활용할 계획이다.
HDB001A 글로벌 2/3상은 한국 및 해외 35여 개 기관에서 150명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이전에 1회의 전신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절제 불가능한 진행성, 전이성 또는 재발성 담도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파클리탁셀 단독 요법과 HDB001A와 파클리탁셀 병용요법에 대한 무작위배정, 대조 방식으로 진행된다.
현재 담도암은 치료 옵션이 매우 제한적이다. 5년 생존율이 20%가 채 되지 않으며 10%만이 외과적 절제가 가능한 초기 단계에 발견되고 수술후에도 60%이상 높은 재발률을 보인다.
개발 중인 HDB001A는 에이비엘바이오의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항암 치료제이다. 올해 초 미국임상종양학회 소화기암심포지엄(ASCO GI 2023)에서 한독이 진행한 국내 임상 2상 결과가 발표되며 미충족 수요가 높은 진행성 담도암의 새로운 치료법으로 관심을 모았다.
HDB001A 임상 2상에서 유효성을 평가한 결과, HDB001A와 파클리탁셀을 병용투여한 환자 대상 객관적반응율(ORR)이 2차 및 3차 치료에서 37.5%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12개월 이상 추적 관찰 결과에서 무진행생존기간(mPFS)은 9.4개월, 전체생존기간(mOS)은 12.5개월로 확인됐다.
현재 미국 종합 암 네트워크(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NCCN) 가이드라인에서 진행성 담도암의 2차 치료로 권고하고 있는 요법인 FOLFOX 기반의 치료는 무진행생존기간(mPFS) 4.0개월, 전체생존율 6.2개월에 불과하다.
한독 김영진 회장은 “HDB001A는 담도암 환자 대상 임상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며 “이번 임상으로 한국인 대상 데이터를 추가 확보해 한국 환자들에게 HDB001A가 담도암 2차 치료에 있어 새로운 희망이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동국제약, 대한민국 축구 레전드 박지성 인사돌플러스 모델로 발탁해 신규 TV-CF 온에어
동국제약(대표이사 송준호)은 지난 2002년 월드컵 영웅이자, 영국 프리미어리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두개의 심장’으로 불리며, 대한민국 축구의 살아있는 전설이 된 박지성을 인사돌플러스의 모델로 발탁해 신규 TV-CF를 온에어했다.
TV-CF에서 박지성은 기존 인사돌플러스의 광고 모델 최불암, 이보영과 함께 식사를 하면서 잇몸 건강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상황을 연출했다. 박지성이 ‘잇몸은 평생 현역’ 이라는 멘트를 통해 잇몸 건강의 중요성을 언급하자, 최불암은 ‘잇몸은 은퇴가 없으니까 잘 관리하세요’라며 잇몸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박지성은 ‘잇몸 속부터 단단하게’라는 멘트를 통해, 잇몸 겉뿐만 아니라 잇몸 속 치아를 실질적으로 잡아주는 조직인 치조골을 강화시키는 인사돌플러스의 작용을 어필했다.
동국제약은 선수시절부터 해설위원으로 활동 중인 지금까지, 꾸준함과 성실함으로 신뢰를 쌓아온 박지성의 이미지가 인사돌플러스의 제품 이미지에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특히, 평생 현역 선수처럼 철저히 자기 관리를 하고 있는 박지성이, '평생 쓰는 우리 잇몸' 관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는 이번 광고에서, 직접 메시지를 전달해 소비자가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
동국제약 담당자는 “잇몸약 ‘인사돌’의 대표성과 신뢰도를 보다 잘 표현하기 위해, 대한민국 축구 레전드 박지성을 새로운 모델로 전격 기용했다”며, “’잇몸은 은퇴 없는 평생 현역’이라는 멘트를 통해 평생 동안 사용하는 잇몸 건강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뇌건강 노하우로 건기식 새판 짠다”···대웅바이오, 13일 출사표 던진다
대웅제약과 함께 대웅그룹을 견인하고 있는 대웅바이오가 건강기능식품 시장에 출사표를 던진다.
대웅바이오(대표 진성곤)는 6조 원 규모의 건강기능식품(이하 건기식) 시장에 본격 진출을 알리는 론칭 심포지엄 ‘ONLY ONE’을 오는 10월13일 오후 6시 서울 서초구 JW메리어트 호텔에서 연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론칭 심포지엄에는 대웅바이오 진성곤 대표를 비롯 의사, 약사, 인플루언서 등 약 150여 명이 참석해 전문가 강의와 제품소개를 통해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대웅바이오는 기존 건강기능식품시장에서 차별화 전략으로 전문가와 임상근거 기반의 신제품을 출시해 3년내 1000억 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간 원료의약품 및 완제의약품 사업에서의 안정적인 매출 실적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캐시카우를 발굴하겠다는 의지다.
대웅바이오는 먼저 두각을 보이고 있는 중추신경계 사업에서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발휘한다는 계획이다. 대웅바이오의 중추신경계 제품 글리아타민은 국내 콜린알포세레이트 시장점유율 1위다. 글리아타민 매출은 지난해 1061억 원으로 동일 성분 제품 중 처방 규모가 가장 크다.
대웅바이오는 중추신경계 분야의 전문성과 노하우를 살려 뇌건강 관련 건기식을 내달 출시한다. 해당 신제품은 내달 13일 론칭 심포지엄에서 정식 공개될 예정이며, 뇌건강 전문제약사 대웅바이오의 노하우와 국내 유수의 의·약사의 의견을 담아 만들어졌다.
여기에 대웅바이오는 같은 날 특허 유산균을 한 알에 담아낸 차세대 멀티바이오틱스 ‘다이어트 유산균제’와 세계 3대 천연 항생제인 매스틱를 함유한 1% 프리미엄 비타민도 함께 선보인다.
대웅바이오는 각 제품에 차별화된 원료와 성분을 발굴 및 적용해 ‘명품 건기식’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나간다는 계획이다. 각 제품에 대한 상세 소개는 오는 13일 열리는 론칭 심포지엄에서 진성곤 대웅바이오 대표가 직접 소개할 예정이다.
대웅바이오 진성곤 대표는 “대웅바이오가 40년간 쌓아온 제약 전문성과 노하우를 아낌없이 발휘해 차별화된 건기식을 개발할 수 있었다”라며 “10월 13일 열리는 건기식 브랜드 론칭 심포지엄을 기점으로 향후 ‘명품 건기식’ 시장이라는 영역을 개척해 대웅바이오만의 새로운 캐시카우로 키우겠다”고 말했다.
■일양약품, 당뇨병 혈당조절제 ‘자누가 정’ 출시
일양약품(대표이사 김동연·정유석)이 DPP-4 억제제 기전의 시타글립틴 성분과 SGLT-2 억제제 성분의 다파글리플로진 복합제인 ‘자누가 정’ 당뇨병치료제를 최근 출시했다.
‘자누가 정’의 주성분인 시타글립틴으로 DPP-4를 억제하여 GLP-1, GIP의 지속시간을 늘려 혈당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며, SGLT-2 억제제 대표 성분 중 하나인 다파글리플로진은 포도당 재흡수에 관여하는 SGLT-2 억제를 통해 포도당을 소변으로 배출시켜 인슐린 비의존적으로 혈당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나타낸다.
당뇨병치료제 ‘자누가 정’은 시타글립틴 100mg과 다파글리플로진 10mg을 투여하는 환자에게 식사와 관계없이 1일 1회 1정 복용이 가능하다.
회사 측은 시타글립틴과 다파글리플로진은 병용 투여 시, 유의한 혈당 강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당뇨병용제 급여기준 변경(2023년 4월)으로 두 계열간의 병용투여가 메트포르민과 함께 3제 요법으로 병용투여가 가능하다. 특히 복용의 편의성으로 당뇨병 환자 치료에 다양한 치료옵션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동화약품 판콜, 가수 싸이 모델 TV-CF ‘감기없는 코리아, 판 콜이야(Korea)’ 런칭
동화약품은 종합감기약 ‘판콜’의 신규 TV 광고를 런칭했다고 27일 밝혔다.
가수 싸이를 모델로 내세운 신규 광고는 ‘감기없는 코리아, 판콜이야’라는 키메시지를 통해 대한민국 토종 브랜드 판콜이 소비자에게 인상 깊게 전달될 수 있게 제작했다. 또한, 싸이가 화이팅 넘치게 외치는 ‘판콜이야’라는 카피를 반복해 소비자가 감기에 걸렸을 때 자연스럽게 판콜을 떠올릴 수 있도록 구성했다.
동화약품 관계자는 “기존 광고를 통해 소비자에게 각인시킨 판콜의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해 신규 광고를 제작했다”며, “특히 케이팝 대표 가수 싸이를 모델로 기용한 이번 광고를 통해 판콜의 대중적 인지도 또한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판콜’은 1968년 출시 이래 50년 간 변함없이 사랑받는 동화약품의 종합감기약이다. ‘판콜’은 일반의약품인 성인용 종합감기약 ‘판콜에스’와 안전상비의약품인 ‘판콜에이’가 있으며, 어린이용 종합감기약 ‘판콜아이콜드 시럽’ 등 총 3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웅제약 ‘나보타’, 올 상반기 매출 역대 최대···국내 톡신 기업 중 1위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창재)은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의 올 상반기 매출이 753억 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27일 밝혔다.
국내 톡신 제조 기업 매출 중 1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대웅제약은 2023년 한 해 전체 나보타 매출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나보타는 지난해 142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이 가운데 해외 매출(1099억 원)이 80%에 육박했다.
대웅제약이 자체 개발한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의 매출은 매년 급상승을 거듭하고 있다. 2020년 504억 원 수준이었던 전체 매출은, 2021년 796억 원, 2022년 1420억 원으로 2년 만에 3배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해외 매출의 비중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K-톡신의 위상을 높이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다.
나보타의 해외 매출은 2021년 492억 원에서 2022년 1099억 원으로 2배 이상 뛰었으며, 올해 상반기에도 전체 753억 원 매출 중 해외 매출이 629억 원을 차지한다. 전체 매출 중 해외 매출의 비중은 2021년 61%, 2022년 77%에 이어 올해 상반기 83%를 기록했다.
대웅제약은 나보타의 해외 매출이 지속 성장하자 올해 나보타 3공장 건립을 결정했다. 현재 가동 중인 1, 2공장만으로는 해외시장 수요를 맞추기 어렵기 때문이다. 나보타 3공장은 2024년 준공 예정으로 완공 때 연간 나보타 생산량은 지금보다 260% 증가한 1300만 바이알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나보타는 글로벌 전역에서 가파르게 성장 중이다. 대웅제약은 지난 2019년 2월, 아시아 국가의 보툴리눔 톡신 제제로는 최초로 FDA 승인을 획득하고, 같은 해 5월 미국 현지에서 글로벌 기업 에볼루스와의 파트너십를 통해 ‘주보(Jeuveau)’라는 이름으로 나보타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그로부터 불과 3년이 지난 2022년 미국 시장 점유율 10%를 넘어서며 대표 톡신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또한 지난 6월 에볼루스는 영국, 독일, 오스트리아에 이어 이탈리아에도 ‘누시바(Nuceiva, 나보타 유럽명)’를 출시하며 북미와 유럽이라는 양대 빅 마켓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또 2024년 중국 및 호주 발매를 예고하며 진출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대웅제약 나보타는 미국 치료 시장 진입에도 다른 국내 기업들과 차별화된 행보를 보이고 있다. 나보타의 미국 내 치료 시장 파트너사 이온바이오파마는 최근, ‘편두통 치료용 신경독소 조성물(Neurotoxin Compositions for Use in Treating Headache)’ 미국 특허를 받았다. 기존 보툴리눔 톡신 제제에 비해 투여 횟수를 줄이고, 투여 위치도 변경해 편의성을 개선하고 부작용을 줄인 점을 인정받았는데 이 특허는 미국에서 2041년까지 독점적 권리를 보호받는다.
글로벌 보툴리눔 톡신 시장은 65억 달러(8조 3000억 원)로 미용시장과 치료시장으로 나뉘는데 이 중 치료시장이 53%로 절반이 넘는다. 치료시장은 애브비가 95%를 차지하고 있어 대웅제약이 치료 적응증을 획득하고 사업을 본격화하면 치료시장의 지각 변동이 예상된다.
박성수 대웅제약 부사장은 “대웅제약의 나보타가 올 상반기 약진을 통해, 드디어 한국 보툴리눔 톡신 제조 기업들 가운데 매출 1위를 기록했다”며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미용시장은 물론 빠른 시간 내 글로벌 치료시장까지 진출해 전 세계 대표 톡신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바이엘 코리아, 대한심부전학회에서 ‘베르쿠보’ 최신 지견 소개
바이엘 코리아(대표이사 프레다 린, Freda Lin)는 2023년 대한심부전학회 추계 학술대회 ‘Heart Failure Seoul 2023’에서 지난 22·23일 양일간 베르쿠보(성분명 베리시구앗, Vericiguat)의 임상적 유용성을 확인한 주요 연구 및 심부전 악화 환자 대상의 최신 치료 전략을 공유하는 세션 및 런천 심포지엄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바이엘 코리아는 베르쿠보의 허가 및 급여 적용의 근거가 된 VICTORIA 임상 3상의 주요 데이터와 심부전 관련 국내외 가이드라인에 기반한 최신 지견을 공유할 수 있도록 양일 간의 세션을 마련했다.
지난 22일에 진행된 세션에서는 세계적인 심부전 석학으로 저명한 코이치로 키누가와 교수(University of Toyama, Japan)가 ‘심부전 악화 사건 발생 시 베르쿠보는 확실한 선택 (‘Verquvo’ as Evident Choice after a WHFE)’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키누가와 교수는 베르쿠보가 심부전으로 입원을 반복하는 고위험성 만성 심부전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치료 옵션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은 심부전 환자의25%가 1년 이내 재입원을 경험한다. 베르쿠보를 처방한지 2년이 넘은 지금 치료 효과를 체감하고 있다”고 말하며 “특히 표준 치료에도 불구하고 심부전으로 입원을 반복했던 만성 좌심실 박출률 저하 심부전(Heart Failure with Reduced Ejection Fraction, 이하 HFrEF) 환자를 대상으로 베르쿠보를 사용한 결과, 심부전의 예후를 판단하는 지표인 N-말단 프로-B형 나트륨이뇨펩티드(N-terminal pro–B-type natriuretic peptide, 이하 NT-proBNP)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했고, 신장 기능 평가 지표인 신사구체여과율(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수치 또한 일부 회복되는 효과를 직접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런천 심포지엄으로 진행된 23일에는 최동주 교수(분당서울대병원 심장혈관센터 순환기내과)가 좌장을 맡았으며, 조은정 교수(중앙대 광명병원 순환기내과)와 이수용 교수(양산부산대병원 순환기내과)가 연자로 나섰다.
먼저 조은정 교수는 ‘치료 격차를 줄이기 위해 새로운 경로를 타깃하는 베르쿠보, 만성 심부전 치료제로 승인된 세계 최초의 수용성 구아닐산 고리화효소(soluble Guanylate Cyclase, 이하 sGC) 자극제(Targeting New Pathways to Fill the Treatment Gap, Verquvo is the First-in-class sGC Stimulator in HFrEF)’를 주제로 베르쿠보의 작용 기전과 VICTORIA 임상 3상의 주요 결과를 소개했다.
조 교수는 “관리가 잘 되는 만성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기존 연구들과 달리VICTORIA 연구는 참여 환자의 84%가 6개월 내 입원 경험이 있는 심부전 악화 환자였다”며 “이러한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베르쿠보는 기존 심부전 치료제와 유사한 임상적 유효성을 확인했으며 추적관찰 10.8개월(중앙값) 동안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 또는 심부전으로 인한 첫 입원의 절대 위험을 4.2% 유의하게 감소시켰다”고 설명했다.
이어 “심부전은 환자 2명 중 1명이 퇴원 후 30일 이내 재입원할 정도로 증상 악화가 빈번하며 입원이 반복될수록 사망률도 비례하여 증가한다”며 “특히 심부전 악화를 경험한 환자의 7명 중 1명은 표준치료에도 질환 악화 위험이 높아 새로운 치료 옵션이 절실했던 상황이다. 베르쿠보는 기존 치료제와 다른 새로운 기전으로 악화된 만성 심부전 환자 치료의 미충족 수요를 해결한 치료제”라고 설명했다.
조 교수는 발표 마지막에 임상현장에서 베르쿠보를 사용한 증례를 공유하며 “실제 진료한 65세 남성 환자의 경우 심부전으로 인한 증상으로 입원 후 여러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완화되지 않은 채로 퇴원했으나 3개월 이후 증상이 다시 악화되어 이식까지 고려하는 상황이었다. 재입원 후 표준치료와 함께 베르쿠보를 복용하면서 증상과 통증이 눈에 띄게 완화되었으며, 현재는 외래에서 진료하고 있다”며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환자가 이제는 산소통과 진통제 없이 생활하며 산책할 정도로 좋아졌다는 것이다. 환자의 삶의 질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두 번째 연자로 나선 이수용 교수는 ‘임상 데이터부터 진료현장까지, 베르쿠보를 실제 처방에서 활용하는 방법 (How We Can Implement Verquvo in the Real World, from Trial Data to Clinical Practice)’이라는 주제로 국내외 심부전 진료 지침을 기반으로 한 베르쿠보 중심의 최신 심부전 치료 전략에 대해 설명했다.
이수용 교수는 “유럽심장학회 심부전협회(Heart Failure Association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이하 HFA-ESC)는 심부전 악화를 새롭게 정의하고 치료 전략을 구체화함에 따라, 최근 심부전 악화의 재발 방지에 관한 성명을 발표했다. 베르쿠보는 심부전 악화 이후 환자들의 질환 관리를 위해 표준 치료제와 함께 5제 요법으로 새롭게 제안됐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또한 베르쿠보는 VICTORIA 연구를 통해 내약성이 우수한 안전성 프로파일이 확인돼, 내약성 문제가 있거나 부적절한 임상 상황의 경우 심부전 악화 이후 4제 요법을 완료하기 전이라도 베르쿠보를 시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덧붙여 이 교수는 “하위연구 분석에 따르면 고위험군 뿐만 아니라 실제 진료 현장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NT-proBNP 1~3 사분위수의 환자 대상으로 심혈관계 사건으로 인한 사망 또는 심부전으로 인한 첫 위험 비율이 위약 대비 7.2% 낮게 나타났다” 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증례 발표를 통해 “기존의 표준치료에도 불구하고 이식을 고려할만큼 심부전 증상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일상 생활이 힘든 환자에서 베르쿠보를 처방한 이후 환자가 식사를 할 정도로 증상이 호전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며, 고위험군에서 확인된 일관된 치료 혜택에 대해 설명했다.
바이엘 코리아 심혈관질환 치료제 사업부 노명규 총괄은 “베르쿠보는 잦은 입원과 악화로 고통받는 심부전 환자들에게 기존 치료제로 부족했던 부분을 채울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옵션” 이라며 “최근 보험급여까지 적용되어 치료 접근성이 높아진 만큼, 바이엘 코리아는 앞으로 국내 만성 심부전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베르쿠보(2.5mg, 5mg, 10mg)는 21년 11월 국내에서 승인받았고, 지난 9월 1일부터 좌심실 수축기능이 저하된 만성 심부전 환자(NYHA class Ⅱ~ Ⅳ) 중, 좌심실 박출률(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이 45% 미만인 환자로서 4주 이상의 표준치료에도 불구하고 세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다른 심부전 표준치료와 병용하여 투여하는 것에 대해 건강보험급여가 적용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