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소아응급의료대책 결국 생색용?···"대책 마련 시급"
“정부가 소아응급환자를 포기한 것인가 아니면 소아응급환자를 버린 것인가”
응급환자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운영 중인 전국 40여 개 광역상황실에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상주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논란이 되고 있다.
대한아동병원협회는 “이는 소아응급환자에게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문제가 있다”며 “상황실 의사의 범위에 소아청소년과를 포함시켜 상주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이를 예방하기 위한 다른 대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부는 응급환자의 전원 업무를 지원하는 전국 40여 개 광역상황실의 급박한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상황실 의사를 응급의학과·내과·외과 전문의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소아응급환자를 위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사가 상황실 의사 범위에서 빠져 있는 것에 대해 아동병협은 “정부가 그동안 줄기차게 강조하고 ‘소아 응급실 뺑뺑이’ 보도 때마다 언론에 발표한 소아응급의료 대책이나 소아의료 대책을 무색하게 만들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대형병원 응급실에 소아응급환자 내원 시 배후 진료로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반드시 있어야 입원이나 이송 등 진료 결정을 내릴 수 있다. 그럼에도 정부가 운영 중인 전국 광역상황실에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상주 규정이 없는 것에 대해 협회는 “정부 스스로가 소아응급환자를 포기했거나 버린 것이 아닌지 의구심이 갈 정도”라고 개탄했다.
전국 40여 개 광역상황실은 상황요원 2~4명과 상황실 의사 1명이 조를 이뤄 24시간 운영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용재 대한아동병원협회 회장(의정부 튼튼어린이병원장)은 “소아응급환자를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살피지 못하는 우리나라의 허약한 소아응급의료체계의 현실을 개선해 반드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소아응급환자를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무런 대책 없이 구급대원에 의해 소아환자가 아동병원을 내원하게 되면 신속하게 대처하기가 어려워지고 불가항력적 의료 사고에 대한 부담감 등이 많다. 이에 따라 현재의 소청과 공백에 따라 이송을 비롯한 소아응급진료의 시스템 구축이 절대시되고 있다
최용재 회장은 “아동병원은 대학병원과 달리 응급실이 없는데도 어쩔 수 없이 구급대원에 의해 소아응급환자가 아동병원에 내원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같은 빈도는 점차 늘어나고 있고 앞으로 더욱 빈도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관련 기관과의 대응 매뉴얼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최용재 회장은 또 “정부의 지원책 미비로 소청과 전문의의 탈소청과화와 소청과 전공의 기피 현상이 심화되고 있어 지방 응급실마다 소청과 전문의를 구하기 어렵게 됐다”며 “지방 응급실의 소청과 전문의 확보 방안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