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를 ‘뇌인지저하증’으로···인식개선 통한 조기 진단·치료 장려
‘치매’를 ‘뇌인지저하증’으로···인식개선 통한 조기 진단·치료 장려
  • 박한재 기자
  • 승인 2025.02.04 09: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용어의 부정적 의미가 수치심 준다···조기 진단과 치료 방해하는 원인 돼”
일본(인지증)·대만(실지증)·홍콩(뇌퇴화증)·미국(주요신경인지장애)도 명칭 변경
김주영 의원, “질병에 대한 올바른 인식 확산해 조기 진단과 치료 적극 이뤄져야”

‘치매’에 대한 편견이 조기 진담 및 치료를 방해한다는 주장이 제기됨에 따라 질병의 명칭을 ‘뇌인지저하증’으로 변경하는 법안이 추진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김주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지난 24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치매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이번 발의에는 더불어민주당 문정복·박균택·박상혁·박정·백승아·안태준·이기헌·정태호 의원과 개혁신당 천하람 의원이 참여했다.

김 의원은 “현행법상의 ‘치매’라는 용어는 ‘어리석을 치(痴)’와 ‘어리석을 매(呆)’를 사용하고 있는데, 일본에서 전해 받아 사용한 한자어를 우리 발음으로 읽어 사용하게 된 것이나 그 부정적인 의미 때문에 환자 가족에게 수치심을 주고, 조기 진단과 치료를 방해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치매’라는 용어가 질병의 특징을 왜곡하고 있다는 지적이 2000년대 중반부터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며, “2021년에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대국민인식조사 결과를 보면 43.8%가 거부감을 보인 바 있다”고 설명했다.

해외 국가들의 경우 우리나라와 동일한 한자문화권 내의 일본은 인지증(認知症, 2004년), 대만은 실지증(失智症, 2001년), 홍콩은 뇌퇴화증(腦退化症, 2010년)이라는 용어로 변경해 사용하고 있으며, 미국은 주요신경인지장애(Major vascular nuerocognitive disorders)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김주영 의원은 “고령화로 인해 치매 환자 수가 급증하면서 2021년 기준 65세 이상 치매 환자 수가 91만명으로 추정되는 상황 속에 치매에 대한 적극적인 조기 진단과 치료는 더욱 절실한 상황”이라며, “법상의 ‘치매’라는 용어를 ‘뇌인지저하증’으로 변경해 치매 환자 및 가족들이 겪고 있는 불필요한 고통을 줄이고, 질병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확산해 적극적인 조기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