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규석 회장 “의료계 패러다임 변화···의사와 환자 모두 만족할 수 있어야”

서울특별시의사회(회장 황규석)가 일차의료 방문진료, 초고령화 사회 진입에 대비해 현재 시행 중인 ‘의료 돌봄 사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각 관계자와 논의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지난 26일 서울시의사회 5층 강당에서는 ‘의료 돌봄 이야기(1)’을 주제로 △서울시 방문진료 시범사업 △장애인 주치의 사업 △퇴원 환자 지역사회 연계사업과 관련해 각 관계자의 설명과 질의응답이 오갔다. ‘의료 돌봄 이야기(1)’ 본 회의는 서울시의사회 주최, 서울대병원·국립재활원 주관 아래 진행됐다.

황규석 회장은 개회사에서 “이번 행사는 서울시의사회가 선도적으로 주최한 첫 번째 의료 돌봄 행사로, 우리나라 지역 의료 커뮤니티케어와 방문 진료, 장애인 주치의 사업 등을 포함한 다양한 돌봄 서비스를 논의하는 자리”라고 강조하며 “이번 회의를 통해 더 나은 대안을 찾고,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시의사회 대의원회 한미애 의장은 격려사에서 “개인과 지역사회가 건강에 책임감을 갖고 능동적으로 대처하도록 지원이 필요하고, 개인과 커뮤니티 정책 결정자 및 다양한 기관과 협력을 통해 국민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데 의사 단체가 기여해야 할 것”이라고 독려했다.
이번 회의 첫 순서로 ‘공공보건 의료 협력체계 구축 사업’과 ‘퇴원 환자 지역사회 연계 사업’에 대해 설명한 서울대병원 입원의학센터 임진 진료조교수는 “불필요한 의료자원 소비를 줄이고, 1·2차 병원과 지역사회 연계를 통해 퇴원 후에도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이어 ‘장애인 건강주치의 4단계 시범사업과 지역사회 장애인 건강 보건 관리’에 대해 설명한 국립재활원 장애인건강사업과 이보람 과장은 “장애인 건강 주치의 사업은 중증 장애인에서 경증 장애인으로 확대됐으며, 방문 의료 서비스도 강화됐다”고 소개하며 이를 통해 장애인의 의료 접근성을 향상하겠다고 설명했다.

‘초고령화 사회 필수의료인 지역사회 일차의료 및 재택의료’를 발표한 서울봄연합의원 이충형 원장은 지역사회 의료와 재택의료의 중요성을 사례와 함께 설명하며, 집에서 지원이 필요한 환자가 많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환자 중심으로 포괄적인 관리가 지역사회에서 필요하다. 의료와 돌봄이 통합돼야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사회를 맡은 서울시의사회 백재욱 의무이사는 오는 8월 예정인 ‘만성질환관리제’ 본 사업에서 달라지는 점을 설명했다. ‘만성질환관리제’는 치료보다는 예방을 초점으로 운영되며, 시범 사업 기간 10%였던 본인 부담률은 20%로 조정된다. 또한, 서류 절차 등이 간소화될 예정이다.
이번 ‘의료 돌봄 이야기’ 첫 회의는 의료계 다양한 목소리를 통해 현재 문제점을 진단하고, 방향성을 모색하는 계기가 됐다. 서울시의사회는 지역사회의 의료 돌봄 서비스에 맞는 커뮤니티 케어와 관련된 실질적 대안을 찾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