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보윤 의원, “1차 의료기관의 역할 강화해 경증질환으로 대형병원 찾는 현상 줄여나가야”

최근 5년간 경증질환으로 대형병원을 방문한 환자 수가 매년 500만명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위원회 최보윤 의원(국민의힘)은 24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이같이 밝혔다.
대형병원을 찾은 경증질환 환자 수를 연도별로 보면 △2019년 755만813명 △2020년 592만9308명 △2021년 517만9171명 △2022년 516만4359명 △2023년 549만6199명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9년 이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경증질환 세부상병별로 살펴보면 가장 많은 환자를 기록한 질환은 '상세불명 기원의 위장염 및 결장염'으로, 5년간 총 252만2210명의 환자가 이 질환으로 대형병원을 방문했다. 이 외에도 △기타 및 상세불명의 원발성 고혈압 △식도염을 동반한 위-식도역류병 △상세불명의 급성 기관지염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2형 당뇨병 등이 상위 10개 경증질환에 포함됐다.
한편 연령별로는 60~69세 연령층이 가장 많이 대형병원을 방문했으며, 지난해에는 약 110만5530명이 경증질환으로 대형병원을 찾았다.
최보윤 의원은 “대형병원에서 경증질환을 진료받는 환자 수가 꾸준히 높은 것은 의료 자원의 비효율적 활용을 초래할 수 있다”며 “의료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경증질환에 대한 대형병원의 역할을 재고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형병원들이 본연의 역할인 중증질환에 대한 난이도 높은 의료행위 등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의료전달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면서 “1차 의료기관의 역할을 강화해 환자들이 경증질환으로 인해 대형병원을 찾는 현상을 줄여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