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계 소식] 12월 10일
[제약업계 소식] 12월 10일
  • 김동희 기자
  • 승인 2024.12.10 1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GSK 젬퍼리, 모든 진행성·재발성 자궁내막암 환자 대상 1차 치료 적응증 확대

한국GSK(한국법인 대표이사 마우리치오 보르가타)는 자사의 자궁내막암 치료제 젬퍼리(성분명 도스탈리맙)가 지난 12월9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모든 진행성 또는 재발성 자궁내막암 환자군을 대상으로 백금 기반 화학요법과 병용하는 1차 치료제로 적응증을 확대 받았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적응증 확대를 통해 젬퍼리는 불일치 복구 결함(dMMR)/고빈도 현미부수체 불안정(MSI-H)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진행성 또는 재발성 자궁내막암 환자의 1차 치료에 사용이 가능하다.
 
이번 허가는 글로벌,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3상 임상연구인 RUBY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RUBY 연구는 진행성 또는 재발성 자궁내막암 환자 494명을 대상으로 젬퍼리와 백금 기반 화학요법(카보플라틴+파클리탁셀) 병용요법을 대조군인 위약과 백금 기반 화학요법 병용요법과 비교 평가했다. 연구는 기존 백금기반 화학요법의 평균 생존기간이 3년 미만임을 고려해 3년 이상의 치료 기간을 포함하도록 설계됐다. 1차 평가변수는 고형암 반응평가기준(RECIST,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Solid Tumors)에 따른 무진행 생존기간(PFS) 및 전체 생존기간(OS)이었다.
 
젬퍼리 병용요법은 RUBY 임상 연구를 통해 전체 진행성·재발성 자궁내막암 환자군에서 대조군 대비 사망 위험을 31% (HR = 0.69, 95% CI 0.54-0.89) 낮춘 것으로 확인됐다. 추적 관찰 기간 중앙값 37개월 동안 젬퍼리 병용요법을 받은 환자군의 전체 생존기간(OS) 중앙값은 44.6개월로 대조군(28.2개월)보다 16.4개월 더 길었고, 사망 위험을 31%(HR 0.69; 95% CI, 0.54=0.89, p=0.002) 감소시켰다.

안전성 프로파일은 지난 1차 중간분석과 일관됐으며, 새로운 안전성 정보는 관찰되지 않았다. 가장 흔한 치료 관련 부작용은 피로, 탈모, 오심 등이었으며, 대부분 경미하거나 중등도였다.
 
고대구로병원 이재관 교수(KSGO, 부인종양학회 회장)는 “자궁내막암은 초기 치료 이후에도 재발 위험이 높은 질환으로, 환자들에게는 효과적인 1차 치료 옵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이번 RUBY연구는 자궁내막암에서 면역항암제의 효과를 장기간에 걸쳐 입증한 중요한 연구로 평가받고 있다.”며 “젬퍼리와 백금 기반 화학요법 병용요법은 국내 자궁내막암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면역항암제 중 유일하게 생존기간(OS) 개선 효과를 확인한 치료제로, 화학요법 치료 후 6개월 이후 재발한 환자군과 암육종 등의 고위험군 환자가 포함됐음에도 유의미한 임상적 가치를 확인한 만큼 앞으로 더 많은 환자들이 젬퍼리의 임상적 혜택을 누릴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GSK 항암제사업부 양유진 상무는 “이번 적응증 확대를 통해 전체 생존기간(OS) 개선 및 장기 치료 혜택 등을 입증한 젬퍼리의 우수한 임상적 가치를 불일치 복구 결함(dMMR)/고빈도 현미부수체 불안정(MSI-H) 여부와 관계없이 국내 재발성·진행성 자궁내막암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돼 매우 기쁘다”며 “이번 적응증 확대와 더불어, 젬퍼리는 진행성 또는 재발성 dMMR/MSI-H 자궁내막암 1차 치료에서 국내 허가 후 약 7개월만인 지난 10월 암질심 통과했다. 한국GSK는 미충족 수요가 높고 최신 치료 옵션에 대한 접근성이 아직 낮은 자궁내막암 1차 치료에서 국내 자궁내막암 환자들의 접근성을 확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젬퍼리는 IgG4 인간화 단클론항체로dMMR/MSI-H암종에 지속적인 항종양 활성을 보이는 PD-1 억제제(Programmed Death receptor-1 Inhibitor)이다. 2022년 12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이전 백금기반 전신 화학요법 치료 중이거나 치료 후 진행을 나타낸 재발성 또는 진행성dMMR/MSI-H 자궁내막암 성인 환자를 위한 치료제로 허가를 받았으며, 1년 만에 같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건강보험급여를 적용 받았다. 이어 올해 3월 진행성 또는 재발성 dMMR/MSI-H 자궁내막암 성인 환자 대상 백금 기반 화학요법과의 병용요법 1차 치료로 허가확대된 바 있으며, 12월부터 모든 재발성 또는 진행성 자궁내막암 환자 대상 1차 치료로 적응증이 확대됐다. 

대한부인종양학회는 최근 개정된 자궁체부암 진료 권고안을 통해 진행성, 재발성 자궁내막암 환자의 1차 치료에 젬퍼리와 같은 면역관문억제제를 포함한 초기 치료를 권고했고, 2차 이상 치료에 젬퍼리와 같은 면역관문억제제 기반 치료를 권고했다.


■안국약품, 에이피트바이오와 전략적 투자 및 항암제 공동연구개발 계약 체결

안국약품은 지난 6일 과천신사옥에서 에이피트바이오와 전략적 투자 및 공동연구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안국약품은 에이피트바이오의 지분을 확보함과 동시에, 에이피트바이오가 가진 항체 라이브러리 및 다양한 모달리티의 항체신약개발 플랫폼을 활용하여, 글로벌 경쟁력이 높은 혁신적인 항체 기반 신약개발에 대한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안국약품 신성장추진본부 채희성 본부장은 “에이피트바이오와의 전략적 협력을 계기로, 다양한 회사와 혁신적인 신약 파이프라인 확대를 위한 오픈 이노베이션 활동을 다각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한 연구본부 김민수 본부장은 “이번 공동연구 계약을 통해 양사의 협력 시너지를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유망 바이오 기업들과 비임상 단계에서의 통합적 전략 협력을 이어가며 항암제 신약 연구개발 역량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윤선주 에이피트바이오 대표는 “신약개발 비상장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심리가 매우 경색된 대외 환경 속에서 안국약품과 전략적 투자 및 공동연구 계약을 맺게 되어 더없이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번 계약을 계기로 에이피트바이오의 자체 Fab 항체 라이브러리 및 단클론/이중항체 발굴/제작 기술을 바탕으로 도출된 다양한 모달리티의 파이프라인 개발 경쟁력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창립 65주년을 맞이한 안국약품은 피노바이오 등 여러 회사와 신약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를 추진한 경험을 바탕으로, 항암분야 비임상 시험 및 바이오의약품 개발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으며, 신사옥 이전을 계기로 R&D 역량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차별화된 신약 개발뿐만 아니라 신사업 발굴 등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적극적인 행보에 박차를 가 할 예정이다.


■ SK바이오팜, 미국에서 글로벌 파트너들과 미래를 논하다

SK바이오팜(대표이사 사장: 이동훈)은 지난 6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엔젤레스에서 글로벌 파트너사들과 함께 ‘커머셜 얼라이언스 미팅(Commercial Alliance Meeting)’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올해 처음 개최된 커머셜 얼라이언스 미팅은 국내 제약사 최초로 미국 법인을 통한 직판 네트워크를 구축한데 이어, 다양한 글로벌 파트너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전 세계 진출에 성공한 SK바이오팜의 글로벌 마케팅 역량과 전략을 각국 파트너사와 함께 공유하는 자리다. 이와 같은 행사를 개최했다는 것은 SK바이오팜이 글로벌 뇌전증 시장에서 가지는 리더십과 위상을 잘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번 행사는 단순한 제품 판매를 넘어, SK바이오팜이 글로벌 뇌전증 치료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공고히 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됐다. 특히, 국내 제약사 최초로 미국 현지에서 직접 판매와 글로벌 마케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세계적인 기업으로 도약할 기반을 확고히 다지는 계기가 됐다.
 
이날 행사에는 SK바이오팜 이동훈 사장을 비롯한 유럽, 캐나다, 중남미 등 전 세계 8개 파트너사 주요 관계자 40여 명이 참석했다. 연자로는 매튜 링케위치(Matt Linkewich) SK라이프사이언스 마케팅 센터장, 수니타 미스라(Sunita Misra) SK라이프사이언스 임상개발 부사장, 루이스 페라리(Louis Ferrari) SK라이프사이언스 의료 부문(Medical Affairs) 부사장이 나서, 각각 미국에서 견조하게 성장하고 있는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XCOPRI) 성장 추이와 핵심 마케팅 전략, 최근 임상 연구 결과 등을 공유하고 글로벌 성장 가속화를 위한 논의를 진행했다.
 
SK바이오팜은 세노바메이트의 뛰어난 발작완전소실률(11~21%)과 안전성, 글로벌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마일스톤을 차례로 달성하며 2029년 국내 제약사 최초 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年 10억불 매출)을 목표하고 있다. 세노바메이트는 지난해 미국 항경련제 시장에서 신규 환자 처방 수(NBRx) 시장 점유율(43%) 1위를 차지한데 이어 올해 3월에는 글로벌 누적 처방 환자수 10만 명 돌파, 최근에는 14만 명을 넘기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SK바이오팜은 직접 판매를 진행하는 미국 외 시장에서도 전 세계 파트너링을 통해 단일 약품 기술 수출료 글로벌 약 1조7천억원을 달성하였고, 이 중 7천 2백억원 가량은 이미 계약금 및 마일스톤으로 수취했다. 최근에는 성공적으로 완료 단계에 진입한 한·중·일 임상 3상 결과를 바탕으로 아시아 지역 출시를 준비하고 있으며, 일부 아시아 지역 파트너사들은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승인 신청 절차에 착수했다.
 
SK바이오팜 이동훈 사장은 “미국에서 성공적으로 안착한 세노바메이트가 풍부한 처방 경험을 바탕으로 전 세계 14만명 이상의 뇌전증 환자와 의료진에게 신뢰받는 치료제로 자리잡고 있다”며 “각 국가 별 파트너사들과 긴밀하게 협조하여 보다 많은 뇌전증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하고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SK케미칼, SK디스커버리 관계사와 ‘희망메이커 송년행사’ 개최

SK케미칼이 SK디스커버리 산하 관계사들과 함께 지역 사회 청소년을 위한 문화 송년행사를 개최했다.

SK케미칼(대표이사 안재현)은 SK디스커버리, SK바이오사이언스, SK가스, SK플라즈마, SK디앤디와 함께 지난 7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 소재 영화관에서 ‘희망메이커’ 송년행사 ‘따뜻하GO! 행복하GO! 희망차GO!’를 개최했다고 9일 밝혔다.

희망메이커는 SK케미칼 등이 2012년부터 지역 아동과 청소년 성장을 위해 진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회공헌 프로그램이다. 회사 측은 매년 연말 지난 해 활동을 돌아보고 후원 아동, 멘토, 구성원 등 참가자들 간 교류 확대를 위한 송년회를 개최하고 있다. 이번 송년회에는 총 130여명이 참석했다.

지금까지 SK케미칼 사옥 내 공연장인 “에코랩”에서 이뤄졌던 송년회와 달리 작년부터 성남시 내 외부 장소에서 개최하고 있으며 올해는 영화관에서 진행됐다.

회사 측은 매년 성과 리뷰와 공연, 레크레이션 등으로 이어졌던 형식에서 벗어나 후원 아동·청소년의 의견과 취향을 반영하고 문화 경험 확대를 위해 프로그램를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SK케미칼 관계자는 “코로나 이후 TV나 휴대폰으로 영상 컨텐츠를 소비하는 게 익숙해진 아동·청소년에게 대형스크린과 생생한 사운드를 통해 보다 몰입해 영화를 감상할 수 있는 극장 문화에 대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영화관을 찾았다”고 전했다.

상영 종료 후에는 경품 추첨과 연말 선물 전달, 만찬 등 참가자 간 소통을 위한 프로그램도 이어졌다.

SK케미칼 김현동 커뮤니케이션실장은 “희망메이커 프로그램이 13년 간 회사를 대표하는 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 하기까지 지역 복지관, 지역 대학생 멘토, 구성원 등 많은 분들의 노력과 협력이 있었다”며 “다양한 참여자들이 소통을 강화하고 친밀감을 강화해 지역 사회에 희망을 나눌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희망메이커는 SK케미칼과 SK디스커버리 산하 관계사들이 운영하고 있는 사회공헌 활동으로 지역 아동·청소년의 성장 지원을 위해 진로 상담, 학습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SK케미칼과 SK디스커버리 산하 관계사들은 올해 300명의 청소년들을 후원하고 있다.


■메디톡스, 2024 대한레이저피부모발학회 추계 국제학술대회 참가···네트워크 강화 총력

메디톡스(대표 정현호)는 지난 8일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열린 ‘대한레이저피부모발학회(KALDAT) 제48차 추계 국제학술대회’ 참가를 성료했다고 9일 밝혔다. 

피부미용 분야 국내 최대 학회 중 하나인 대한레이저피부모발학회가 주최한 추계 국제학술대회에는 국내외 의료 관계자 450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행사에서 메디톡스는 국내 첫 보툴리눔 톡신 제제 개발부터 글로벌 시장 진출까지 창립 이후 25년간의 기업 발자취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대형 전시 부스를 마련했다. 또한, 중동, 유럽, 아시아 등 신규 시장 개척에 주력하고 있는 ‘뉴라미스’, ‘아띠에르’ 등 히알루론산 필러 라인업과 국내에서 공고한 입지를 구축한 ‘코어톡스’, 계열사 뉴메코의 ‘뉴럭스’ 등 다수의 톡신 포트폴리오도 선보였다. 이 외에도 유통 채널 확장으로 고성장을 기록 중인 뉴로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뉴라덤’ 등 다양한 제품을 적극 홍보했다.

부스 밖에서는 ‘뉴라미스’와 ‘코어톡스’를 활용한 다채로운 강연도 진행됐다. 메이린클리닉 일산점 김형문 원장이 ‘히알루론산 필러의 이상적인 혼합 시술’을 주제로 시술 영상과 함께 생동감 있는 강연을 펼쳤으며, 메이린클리닉 더현대서울점 오욱 원장은 ‘눈가주름 교정을 위한 톡신, 필러 4분할 시술법’을 설명하는 시간도 가졌다.

특히, 강남오앤클리닉 오승민 원장은 ‘젊은 연령대 환자가 150kDa(킬로달톤) 톡신 제제를 사용해야 하는 과학적 근거’에 대한 강연을 진행하면서 젊은 환자일수록 복합단백질에 따른 중화항체 형성으로 내성 발생 가능성이 높은 만큼 신경독소로만 정제된 ‘코어톡스’ 등 고순도 제품 시술을 권장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메디톡스 관계자는 “이번 학회를 통해 메디톡스의 우수한 제품과 브랜드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다시 한 번 체감할 수 있었다”며 “국내외 의료 전문가와 학술적 교류를 확대하며 네트워크 강화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메디톡스는 대한레이저피부모발학회, 두바이 더마, ICLAS 등 유수의 국제학술대회에 지속 참가하고 있으며, 올바른 시술문화 조성을 위한 자체 학술 프로그램 ‘M.LAB’도 정기 진행 중이다.

 

■휴젤, 2024년 ‘대한민국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 선정

휴젤㈜이 ‘2024년 대한민국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으로 꼽혔다.
 
‘대한민국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은 육아 지원, 유연근무, 휴가 등에서 모범적인 성과를 낸 기업을 포상·격려해 사회 문화적으로 좋은 사례를 확산하려는 취지의 정부 사업이다.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한국경영자총협회,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중앙회가 공동 주최하고 노사발전재단이 주관한다.

휴젤은 서면심사·현장실사·최종 선정 심사 등 공정하고 엄격한 절차를 거쳐 ‘대한민국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에 최종 이름을 올렸다. 일·육아 병행 지원을 위한 제도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며 기업 문화를 개선하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한 결과다.

휴젤은 항후 3년간 △근로감독·조사 면제 △금리 우대 △기술·신용 보증 우대 △관세조사 유예 △정부 지원사업 참여 시 우대 등의 혜택을 받게 된다.

현재 휴젤은 다양한 워라밸(Work-life balance) 제도를 운영 중이다. 임직원들은 유연근무 제도를 통해 개인의 생활환경에 맞춘 자율적인 근무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또 스마트워크 시스템을 활용해 시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로운 근무가 가능하다.
 
아울러 휴젤은 매월 1회 패밀리데이(Family day)를 실시하고, 법정 휴가 외 3일간의 리프레시(Refresh) 유급 휴가를 제공하는 등 업무와 일상을 조화롭게 유지할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 최근에는 임직원의 의견을 반영해 반반차(2시간 휴가) 제도도 도입했다.
 
이 외에 자녀 출산 및 양육을 위한 지원금과 자녀 학자금 등의 복리후생을 마련하고, 직장 어린이집·여성 휴게실·수유실도 운영 중이다.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과 남녀 성별에 구분 없는 육아휴직도 적극 장려한다.
 
휴젤 관계자는 “휴젤은 일과 가정이 양립할 수 있는 기업 문화를 가꾸어 나가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이번 ‘대한민국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 선정을 발판으로 임직원들의 업무 만족도와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제도 마련과 운영에 더욱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삼진제약 위시헬씨, 올인원 멀티PTP의 원조 ‘하루엔진’ 출시 3주년 맞아

삼진제약(대표이사 최용주)은 토탈헬스케어 브랜드 ‘위시헬씨’에서 지난 2021년 12월 런칭 후 올인원 건기식 시장 리딩 품목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는 ‘하루엔진’이 출시 3주년을 맞이했다고 밝혔다. 

‘위시헬씨’의 대표 품목인 ‘하루엔진’은 한국인이 가장 많이 섭취하는 3가지 핵심 성분인 멀티비타민∙미네랄, 프로바이오틱스, 오메가3(EPA 및 DHA 함유 유지)를 한 장의 PTP에 담아 간편한 섭취 및 안정된 보관을 가능하게 했으며 다양한 소비자들의 니즈에 맞춘 라인업들을 출시, 시장 내 입지를 착실히 다져오고 있다.

2020년 말 삼진제약 컨슈머헬스본부 개발팀은 한국인이 기본적으로 챙겨먹는 멀티비타민·미네랄, 오메가3, 프로바이오틱스를 간편하게 섭취하고자 하는 소비자 니즈를 확인하고 각 성분들을 한 번에 섭취할 수 있는 올인원 제품 개발에 돌입했다. 개발 초반에는 여러 정제와 캡슐을 한 파우치에 담는 멀티팩 방식을 고려했으나, 각각의 정제와 캡슐 간 간섭 등으로 인해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난항을 겪었다. 그러다 정제와 캡슐을 한 장의 PTP에 개별 투입, 각 성분의 안정성을 극대화시키는 ‘멀티PTP(Press Through Package)포장법’을 적용하면서 각 성분들을 안정되게 지키면서도 간편하게 올인원으로 섭취할 수 있는 ‘하루엔진’을 출시할 수 있었다. ‘하루엔진’이 국내 최초로 올인원 멀티PTP 제품을 선보인 후 다른 브랜드들에서도 이와 비슷한 형태의 제품이 시장에 나오고 있다.

이렇게 개발된 올인원 멀티 PTP ‘하루엔진’은 기초 영양과 성분을 담은 기본 제품 외에도 소비자들의 다양한 건강 고민에 부응하기 위한 제품 라인업을 꾸준히 확대해 왔다. 세부적으로 △피부 건강과 다이어트가 고민인 여성을 위한 ‘하루엔진 포우먼’ △고된 업무로 체력 관리가 필요한 남성을 위한 ‘하루엔진 포맨’ △전립선과 갱년기 건강을 걱정하는 시니어를 위한 ‘하루엔진 50+ 맨과 우먼’ 등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고함량 비타민B군과 마그네슘을 담은 ‘하루엔진 마그비타 쎈’ △혈당 관리와 체지방 감소 기능성 성분을 담은 ‘하루엔진 슬림 당 케어’도 연이어 출시하며 소비자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다.

또한 ‘위시헬씨는 대표 브랜드인 ‘하루엔진’의 가치를 ‘SIMPLE’, ‘ALL-IN-ONE’, ‘PROTECT’로 정의하고 제품 확장을 통해 이를 실현하고 있다.

삼진제약 하루엔진 담당자는 “위시헬씨의 하루엔진은 소비자들에게 건강한 삶을 위한 간편하고 믿을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해왔으며, 이와 같은 노력의 결실로 출시 3주년을 맞이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시장의 트렌드에 발맞춘 제품 개발을 통해 소비자 여러분들의 건강한 삶을 지원하고자 최선을 다할 것이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동국제약, 국내 유일 인삼 단일성분 일반의약품 ‘진센시드캡슐’ 발매

동국제약(대표이사 송준호)은 임상연구로 입증된 표준화된 인삼 성분이 100% 함유된 국내 유일의 인삼 단일성분 의약품 진센시드캡슐을 최근 출시했다.

진센시드캡슐은 인삼 40% 에탄올건조엑스(생규) 100mg를 주성분으로 하며, 특히, 진센시드캡슐에 함유된 인삼건조엑스의 대표적인 효능으로는 신체의 에너지대사를 강화시켜 신체활동 시 세포호흡과 체내 회복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체내 면역체계 기능을 강화시켜 고령, 스트레스, 영양부족, 계절 변화에 따른 면역력 약화로 인한 계절성 독감 등 호흡기계 질환 위험성에 대한 방어기능을 향상시킨다.

요즘처럼 본격적인 한파가 시작되면서 쌀쌀하고 건조한 날씨에는 면역력이 저하되어 독감 등 바이러스에 노출될 확률이 높다. 바이러스성 질환은 전염성이 강하고 일단 발병하면 면역력을 더욱 떨어뜨려 다양한 질병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은 만큼 예방이 중요하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나 고령자는 일반성인보다 체온유지에 취약하므로 급격한 온도차와 호흡기 질환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동국제약 마케팅 담당자는 “인삼은 면역력이 약화된 경우 세포 활성화를 통한 면역시스템의 항상성 유지 및 조절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진센시드캡슐의 원료 인삼은 사포닌 함량이 최고조에 달하며 항염, 항산화 등 생리활성효과가 우수하다고 알려진 6년근을 사용한 만큼, 육체적·정신적 피로, 허약한 체질과 병중, 병후 자양장강에 더욱 효과적이다”고 말했다.

기존 인삼성분이 함유된 자양강장제의 경우 액상이나, 분말제형 등 복용의 불편함이 있었으나, 진센시드캡슐은 인삼 성분을 간편하게 경구용으로 복용이 가능한 일반의약품이다. 처방전 없이 가까운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성인의 경우 1일 2캡슐을 아침이나 점심에, 만 12세 이상 소아의 경우 일반적으로 1일 1캡슐을 아침에 복용하면 된다. 제품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동국제약 소비자 상담전화로 문의할 수 있다.

 

■한미양행, 제61회 무역의 날 ‘500만불 수출의 탑’ 및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수상

㈜한미양행(대표이사 정명수)이 지난 5일 열린 ‘제61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500만불 수출의 탑’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표창’을 동시 수상했다.
 
한미양행은 2022년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해외마케팅 본부를 신설한 후, 첫해인 2023년에 ‘100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한 데 이어 올해는 ‘500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57년 업력을 자랑하는 한미양행은 건강기능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하고 생산하는 기업으로, 2022년부터 베트남, 태국, 필리핀, 미얀마, 싱가폴 등 다양한 국가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특히,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원료를 직접 발굴하고 소싱하는 능력과 바이어 맞춤형 대응, 즉각적인 피드백을 통한 신뢰 구축으로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전개하고 있다.
 
이날 K뷰티와 K푸드에 이어 차세대 수출 효자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K건기식의 급성장을 이끈 공로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을 수상한 한미양행 정명수 대표는 “건강기능식품은 미용과 건강을 동시에 공략할 수 있어 해외 소비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며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품질향상을 통해 K건기식 수출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GC녹십자, 동아에스티와 mRNA-LNP 기반 만성염증질환치료제 공동 연구 개발

GC녹십자(대표이사 허은철)는 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정재훈)와 mRNA-LNP 기반 만성염증질환 신약개발을 위한 후속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지난해 10월 만성염증질환을 표적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타깃을 공동으로 선정하고 신규 모달리티(Modality) 기반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공동연구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양사는 이번 후속 계약을 통해 선정한 약물타깃에 대한 작용기전(Mode of Action, MOA)을 추가 확인하고 전임상 모델에서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계약에 따라 GC녹십자는 선정된 타깃에 작용할 수 있는 mRNA를 합성하고, 특정 조직에 전달(Local delivery) 가능한 LNP를 스크리닝(Screening), 최적화할 계획이다. 동아에스티는 당사가 도출한 mRNA-LNP 물질의 작용기전을 밝히고 동물모델에서 유효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GC녹십자는 차세대 신약개발 플랫폼의 하나로 mRNA-LNP를 선택하고 자체 기술력과 특허를 확보해왔다. 현재 이를 바탕으로 독감백신을 포함한 다양한 예방 백신과 치료제 연구를 진행 중이며, 이번 계약을 통해 mRNA-LNP플랫폼의 응용 영역을 면역질환 분야까지 확장할 예정이다.

동아ST는 염증 질환 분야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해 11월부터 만성 염증성 질환을 목표로 매사추세츠 주립대학교 의과대학과 AAV (Adenovirus-associated virus, 아데노부속바이러스) 매개 유전자 치료제 공동연구를 시작했으며, 지난 1월에는 KIST로부터 밀크엑소좀 기반 경구 핵산 전달체 기술을 이전받고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정재욱 GC녹십자 R&D부문장은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은 만성염증질환 분야의 치료제 개발을 위해 양사가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며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GC 녹십자가 보유한 mRNA-LNP 기반 기술을 발전 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신약 개발에 확대 적용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동아에스티 박재홍 R&D 총괄 사장은 “지난해 양사 간의 협력이 긍정적인 성과를 거둔 만큼 더욱 심도 있는 공동연구를 이어나갈 계획이다”며 “각사의 역량과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혁신적인 면역질환 신약 개발의 성과를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노바티스, 글로벌 2024 의약품 접근성 지수 1위

한국노바티스(대표이사 사장 유병재)는 지난달 19일 발표된 2024 의약품 접근성 지수(ATMI, Access to Medicine Index) 보고서에서 노바티스가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노바티스는 연구개발 및 접근성 거버넌스 분야 리더십을 바탕으로, 글로벌 의약품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에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의약품 접근성 지수는 의약품 접근성 재단(ATMF, Access to Medicine Foundation)이 2년마다 연구 중심의 글로벌 제약회사 상위 20곳을 대상으로, 113개 중저소득국에서의 의약품, 백신, 진단 기술의 접근성 개선 노력을 평가해 발표하는 지수다.
 
이번 보고서는 노바티스가 비감염성 질환, 말라리아, 샤가스병, 뎅기열 등 치료 부담이 큰 질환에 대해 선도적인 포트폴리오와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개발 후기 단계의 후보 약물에 대한 폭넓은 접근성 전략을 펼치고 있음을 강조했다. 보고서에서 언급된 모범 사례의 절반이 노바티스와 관련되어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노바티스는 지난해 전 세계 2억 8,400만 명의 환자에게 의약품을 공급했으며, 다양한 접근성 향상 프로젝트로 3,320만 명 이상의 환자에게 도움을 주었다. 주요 프로젝트로는 △개발 후기 단계 주요 후보 약물의 접근성 계획 수립 및 회사 전략과의 통합 △중저소득국에서의 혁신 의약품 허가 확대 및 다수 저소득국 및 최빈국에서의 의약품 접근성 개선을 위한 포괄적 비즈니스 모델 운영 △말라리아 의약 벤처(MMV, Medicines for Malaria Venture)와 협력한 말라리아 치료제 접근 전략 △소외질환 의약품 개발 이니셔티브(DNDi, Drugs for Neglected Diseases initiative)와 협력해 에티오피아에서 내장 리슈만편모충증 경구 치료제의 2상 임상시험 진행 등이 있다.
 
한국노바티스도 한 해 380만 명 이상의 국내 환자들에게 의약품을 공급하며 더 나은 치료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또한 국내 제약사 전체에서 가장 많은 특허 등재 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매출액의 약 7%를 국내 R&D에 재투자해 지난 12년간(2012~2023년) 한국에 진출해 있는 글로벌 제약사 중 가장 많은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노바티스 유병재 대표이사 사장은 “이번 성과는 글로벌 제약산업의 리더로서 노바티스가 국경을 초월하여 전 세계 환자들에게 혁신 의약품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헌신한 결과이며 한국노바티스는 앞으로도 한국인들의 생명 연장과 치료 결과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혁신 의약품을 하루라도 빨리 환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는 제약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정부, 의료계, 환자단체 등 각계각층의 이해관계자들과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본격적인 동북아 시장 진출 시동···한·중·일 뇌전증 환자에서도 임상적 유효성 입증

SK바이오팜(대표이사 사장 이동훈)이 지난 6일부터 10일까지(이하 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리고 있는 2024 미국뇌전증학회에서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XCOPRI)의 동북아 환자 대상 3상 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 발표로 공개했다. 세노바메이트의 아시아 파트너사들은 기존 임상 자료들과 이번 결과를 참고하여 국가별 허가 신청을 진행할 계획이다.
 
뇌전증은 뇌졸중, 치매에 이어 세 번째로 흔한 신경계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500만명이 진단받는다. 세노바메이트는 예기치 못한 발작 증상으로 고통받는 성인 뇌전증 환자에서 유의미한 발작완전소실률이 입증되어 이미 2020년 미국, 2021년 유럽 등에서 출시 후 활발히 처방, 지난해 미국 신규 환자 처방 수 1위(43%) 달성 및 최근 글로벌 누적 처방 환자 수 14만 명을 돌파한 바 있다.
 
이번에 발표된 동북아 3상 임상 시험은 한국, 중국, 일본 3개국에서 기존 항경련제 치료에도 조절되지 않는 국소 발작이 있는 18세~70세 성인 뇌전증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다기관,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연구로 세노바메이트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했다. 환자들은 1:1:1:1로 무작위 배정되어 보조요법으로 위약 및 세노바메이트 100mg, 200mg 또는 400mg을 1일 1회 복용했다.
 
연구 결과, 세노바메이트는 6주 유지기 동안 보조요법으로 복용 시 모든 투약 용량에서 유의미한 발작감소비율 중앙값을 확인하며 1차 평가지표를 충족시켰다. 투약 용량 400mg에서는 발작감소비율 중앙값 100%를 달성했다 (위약 25.9% vs 세노바메이트 100mg 42.6% 감소, 200mg 78.3%, 400mg 100%). 2차 평가지표인 반응률(responder rate)에서도 6주 유지기 동안 유의미한 발작완전소실률을 확인했다 (위약 2.6% vs 세노바메이트 100mg 12.4%, 200mg 30.1%, 400mg 52.4%). 가장 흔한 이상 반응(≥20%)은 어지럼증과 졸음이었다.
 
또한 세노바메이트는 복용 5~6주 차부터 부분발작 빈도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며 적정기 초기 단계에서도 발작 감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했다 (5-6주 차 42.9% vs 위약 15.4%). 세노바메이트의 치료 효과는 단순 부분 발작, 복합 부분 발작, 전신강직간대발작 등 여러 뇌전증 하위유형에서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는 주요 학술지에 게재를 준비 중이다.
 
한편 이번 학회에서는 동북아 환자 대상 3상 임상을 포함해 총 9개의 세노바메이트 연구 포스터가 발표됐다. 세노바메이트의 이중 작용기전을 규명해 기존 항경련제와의 차별성을 확인한 연구, 초기 발작완전소실 달성을 위한 용량 사후 분석을 통해 환자별 용량 최적화 가능성을 시사한 연구, 반응성 신경자극(RNS, Responsive neurostimulation)에서 발생하는 뇌전증파(Epileptiform Event, EE)에 대한 세노바메이트의 효과 등을 확인한 연구 등이 포함됐다.
 
SK바이오팜 이동훈 사장은 “세노바메이트의 동북아 3개국 임상 시험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세노바메이트는 미국과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 이미 혁신성과 효과를 인정받은 치료제로,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동북아시아 환자들에게도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더불어 “이번 학회 발표는 세노바메이트를 포함한 SK바이오팜의 다양한 연구가 전 세계 뇌전증 환자들의 미충족 의료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얼마나 깊이 있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앞으로도 글로벌 혁신 의약품 개발을 통해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동아제약, 소비자중심경영(CCM) 8회 연속 인증···”고객 중심 경영 활동 인정받아”

 동아제약(대표이사 사장 백상환)은 9일 서울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2024년 소비자중심경영(이하 CCM, Consumer Centered Management) 우수기업 포상식에서 8회 연속 재인증을 받았다고 10일 밝혔다.

CCM인증은 공정거래위원회가 인증하고 한국소비자원이 운영하는 국가 공인 인증제도로, 기업이 수행하는 모든 활동을 소비자 중심으로 구성하고 개선하는지 2년마다 평가하여 인증한다.

동아제약은 2011년 최초 인증 이후 2년마다 재평가를 통과하며 8회 연속 CCM 인증을 받았다. 작년에는 7회 이상 CCM인증 획득 및 12년 이상 유지한 기업 대상으로 추가 심사를 거쳐 선정하는 명예의 전당 부문에 선정돼 공정거래위원장 표창을 받았다.

동아제약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컨슈머 헬스케어 기업’이라는 슬로건에 걸맞게 고객의 눈높이에서 고객에게 필요한 제품,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올해 동아제약은 디지털 시대의 고객 경험 혁신을 위해 고객만족팀을 CX(Customer Experience)팀으로 개편했다. 고객의 소리(VOC) 분석과 디지털 기반의 고객 경험 관리 체계를 통해 소비자의 목소리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편의성을 대폭 개선하고 있다.

또한 생산본부장이 최고고객책임자(CCO)를 겸임하면서 품질과 고객 만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체계를 구축했다. 제품 생산 과정부터 고객 접점까지 철저하게 관리하여 뛰어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2025년에는 AICC(Artificial Intelligent Contact Center, AI 컨택센터)를 도입할 예정이다. AICC는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고객 서비스나 지원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자동화된 상담, 예측,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여 효율적으로 정확한 고객 응대를 통해 더 나은 고객 경험을 선사할 수 있다.

동아제약 관계자는 “이번 CCM 8회 연속 인증은 동아제약이 모든 경영 활동에서 소비자를 최우선으로 두고 노력해 온 결실”이라며, “앞으로도 고객 중심 혁신을 지속하여 뛰어난 품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동아ST, 제1회 대한민국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 선정

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정재훈)는 ‘제1회 대한민국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수상은 직원이 행복한 조직 문화를 만들기 위해 선택적 근로시간제 및 PC-OFF제 도입, 패밀리데이 시행 등 동아에스티의 체계적인 제도 구축과 근무 환경 개선 노력을 인정받은 결과다.

‘대한민국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 시상은 고용노동부가 주최하고, 노사발전재단이 주관하는 행사로, 유연 근무, 일·육아 병행 등 다양한 제도를 통해 일과 생활의 균형을 잘 맞추는 모범 기업을 선정하고, 사회 전반에 일·생활 균형 문화를 확산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385개 신청 기업 중 전문가 및 관련 부처, 경제 단체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의 서면·현장 실사를 통해 정량·정성 지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최종적으로 203개 기업을 선정했다.

동아에스티는 2022년 선택적 근로시간제와 PC-OFF제도를 도입하여 불필요한 야근을 방지하고, 직원들이 가족과 함께 저녁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여 초과 근무를 감축하도록 장려했다. 또한, 2016년부터 매달 셋째 주 금요일 1시간 조기 퇴근하는 ‘패밀리데이’를 시행하며, 2023년부터는 4시간 단축 근무로 확대 운영하고 있다.

결혼·출산 축하금, 자녀 학자금 지원 등 임신·출산·육아기 직원을 위한 다양한 복지제도도 시행하고 있다.

매년 여름방학 기간에는 경북 상주시에 위치한 상주개발원에서 임직원 자녀들을 초청하는 피닉스캠프를 운영하고, 임직원들의 생애설계를 돕는 생애설계지원프로그램 등 다양한 임직원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행복한 조직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동아에스티 관계자는 “동아에스티는 ‘직원이 행복한 회사’를 모토로 직원들의 자긍심과 업무 몰입도를 높이고, 행복한 일터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직원들이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하는 행복한 조직 문화를 조성하고 있다”며”앞으로도 다양한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를 시행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멀츠 에스테틱스, ‘멀츠 에스테틱스 엑스퍼트 서밋(MEXS) 2024 혁신 포럼’ 수상자 발표

글로벌 에스테틱 리딩 기업 멀츠 에스테틱스(이하 멀츠)가 지난 25일 ‘2024 멀츠 에스테틱스 엑스퍼트 써밋(MEXS) 2024 혁신 포럼’의 수상자를 발표했다. 

올해는 태국의 사시핌 차이자라스 박사(Dr. Sasipim Chaijaras, 5년 미만 부문)와 콜롬비아의 훌리안 에르난데스 박사(Dr. Julián Hernández, 5년 이상 부문)가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MEXS 혁신 포럼’은 멀츠 의학부의 주도로 진행되는 글로벌 학술 행사로 에스테틱 의료전문가들과 연구자들이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참석자들 간의 의과학적 최신 지견을 교류하는 자리이다. 이번 포럼에서는 전임상 및 임상연구부터 해부학 분야의 혁신적 통찰, 일상 진료 과정에서 얻은 새로운 관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발표됐으며, 글로벌 전문가들로 구성된 권위있는 심사위원단이 제출된 모든 연구를 공정하고 엄격히 검토해 수상작을 선발했다.
 
수상은 5년 미만 부분, 5년 이상 부문 등 두 부문으로 나뉘며 최종 수상자 외에도 5년 미만 부분에는 △인도네시아 제시카 리 박사 (Dr. Jessica Lie) △스페인 알리나 킬라소니야 박사 (Dr. Alina Kilasoniya) △멕시코 수헤일 루나 박사 (Dr. Suhail Luna) △태국 수라쳇 시리수티보라눈트 박사(Dr. Surachet Sirisuthivoranunt), 5년 이상 부문에는 대한민국 김종서 원장을 비롯해 △미국 조디 슈엔하우스 박사(Dr. Jodi Schoenhaus) △브라질 구스타보 리몬지 박사(Dr. Gustavo Limongi) △태국 낫사차트 주라이랏타나폰 박사(Dr. Natthachat Jurairattanaporn) 등 각 부문별 5명이 결선에 진출했다.
 
멀츠 에스테틱스의 최고의학책임자(CMO) 테리 필립스 박사(M.D. Terri Phillps)는 “올해 혁신 포럼 수상자들은 의미 있는 연구를 통해 에스테틱 산업의 발전을 견인하는 의과학적 우수성을 확인시켰다”며 “매년 개최되는 학술행사를 통해 에스테틱 분야의 더 나은 내일을 위해 기여하는 전세계 의료전문가들의 귀중한 통찰력과 연구에서 큰 영감을 얻고 있다”며 감회를 밝혔다.
 
한편 치열한 경쟁을 거쳐 최종 선발된 수상자들은 ‘멀츠 에스테틱스 엑스퍼트 써밋 2024(이하 MEXS 2024)’에서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발표하는 자리를 가졌다. 2011년부터 진행되고 있는 MEXS는 전 세계 에스테틱 분야 의료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의과학에 기반한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매년 새로운 주제를 바탕으로 다양하고 독창적인 의견 교류 등을 통해 에스테틱 분야의 혁신을 촉진하는 중요한 학술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올해는 ‘에스테틱 혁신: 재생 의학을 통한 에스테틱 분야의 재정의’를 주제로 캐나다 나이아가라에서 11월 23일부터 24일까지 이틀간 개최됐다. 밥 래티건(Bob Rhatigan) 멀츠 최고경영책임자(CEO)의 환영사로 시작된 이번 행사에는 전 세계에서 모인 400여명 이상의 에스테틱 의료 전문가 및 관계자들이 함께 했다. 총 15개 세션에서 30명 이상의 세계적인 연자들이 에스테틱 및 재생과학에 대한 다양하고 참신한 강연을 진행했으며, 참석자들은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열띤 토론의 장을 통해 관련 분야의 지식 및 트랜드를 발전시키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멀츠 에스테틱스 코리아 유수연 대표는 “한국이 글로벌 에스테틱 산업의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는 만큼, 국내 의료진들의 연구 업적이 이번 포럼에서도 큰 관심을 끌었다”며 “앞으로도 멀츠는 의료진들과의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통해 의과학을 기반으로 한 멀츠의 제품 포트폴리오가 소비자들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보령, ‘자발적 에너지 절감 활동 우수사업장’ 선정

㈜보령(대표이사 장두현)이 한국에너지공단이 주관하는 ‘자발적 에너지효율목표제 우수사업장’으로 예산사업장이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보령은 지난 6일 코트야드 메리어트 서울 남대문에서 열린 ‘2024 에너지효율 목표제도 우수기업 인증서 수여식’을 통해 인증서와 현판을 전달 받았다.

‘자발적 에너지효율목표제’는 에너지다소비사업장을 대상으로 에너지 절감 및 관리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키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만든 제도다. 매년 참여 기업의 에너지 절약 실적을 평가해 우수사업장을 선정하고 있다.

보령 예산사업장은 지난해 사업장 전반의 에너지 사용 흐름을 파악하고 손실 요인 발굴 및 에너지 절감 활동을 수행해 온 성과를 인정 받아, ‘2023년도 자발적 에너지효율목표제’ 참여 기업 135개사 가운데 15개 우수사업장 중 한 곳으로 선정됐다.

BMS 에너지 절감모드 개발을 비롯한 다양한 에너지 절감활동을 통해 2022년 대비 전력 5%, 도시가스 12%를 절감하며 직전 3개년 평균 에너지원단위 보다 대폭 향상된 목표달성을 이뤄냈다. 실제 에너지 절감 효과는 연간 약 609toe(석유환산톤), 금액 환산 시 약 5억원에 해당한다.

보령은 2029년까지 2019년 온실가스 배출량, 에너지 사용량, 용수 사용량 및 폐기물 사용량 대비 20% 감축이라는 환경경영 10개년 목표를 세우고 매년 세부 목표 및 성과를 공유하고 있다.

유은종 예산공장 공장장은 “지난해 EU-GMP 획득을 통해 제조경쟁력을 인정 받은 예산공장이 지속가능경영 관점에서도 노력과 성과를 인정 받게 된 것을 영광스럽게 생각한다”고 소감을 전하며, “앞으로도 신재생에너지 도입 등 에너지 효율 개선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검토 및 실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예산사업장은 2019년 준공한 보령의 스마트팩토리로, 생산·포장·배송을 원스톱(One-Stop)으로 일괄 처리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내용 고형제는 연간 최소 8억 7천만정, 항암주사제는 600만 바이알(Vial), 물류 4,000셀(cells) 등을 생산 및 물류 처리할 수 있다. 예산사업장은 2019년 10월 내용 고형제 생산시설에 대한 국내 GMP를 승인 받았으며, 항암주사제 생산시설은 2020년 11월 국내 GMP 획득을 시작으로 2023년 2월에는 유럽식품의약품의 EU-GMP 획득했다. 이에 따라 보령은 세계적 수준의 제조경쟁력을 인정받음은 물론 항암제 수출 및 CDMO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게 됐다. 


■한국오가논-대한폐경학회, 11월 폐경 여성의 달 맞아 호르몬 치료 및 골다공증 관리 변화 조명하는 심포지엄 개최

한국오가논(대표 김소은)과 대한폐경학회(회장 김미란)가 11월 폐경 여성의 달을 맞아 '폐경 여성의 건강을 위한 한국오가논 온라인 심포지엄'을 지난달 21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대한폐경학회는 지난 1999년, 폐경 여성의 건강과 삶의 질을 높이고자 11월을 폐경 여성의 달로 지정했다.  한국오가논은 올해 폐경 여성의 달을 맞아 11일에는 폐경기 관리의 중요성을 알리는 미디어 세션을, 21일에는 의료진을 위한 온라인 심포지엄을 열었다.

국내 산부인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심포지엄은 대한폐경학회 추계연수강좌에서 호평받은 강의를 중심으로, 폐경기 호르몬 치료와 골다공증 관리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대한폐경학회 회장 겸 서울성모병원 산부인과 김미란 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김훈 교수와 국립암센터 자궁난소암센터 이동옥 교수가 연자로 참여했다.

첫 번째 연자인 김훈 교수는 '폐경 여성의 호르몬 치료에서 조직선택적 에스트로겐 활성 조절제(selective tissue estrogenic activity regulator, 이하 STEAR)의 장점'을 주제로 발표했다. 한국오가논의 폐경 호르몬 치료제인 리비알은 다른 치료제와 마찬가지로 폐경 증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고, 골다공증과 골절을 예방한다. 이에 더해 STEAR라는 독특한 기전으로, 기존 치료제와 달리 한 가지 약물로 세 가지 대사물질을 통해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토겐, 안드로겐의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며 각 조직에 선택적으로 작용한다. 김 교수는 “리비알은 유방과 자궁내막 조직은 자극하지 않으면서 뼈나 생식기 등에서는 에스트로겐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조직 선택성 때문에 기존 치료보다 유방통과 질출혈 빈도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소개했다. 또한 “다른 호르몬보다 강도가 약해 폐경기 증상은 완화하면서도 혈압 상승, 혈전 생성과 같은 부작용은 적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서 이동옥 교수는 '골다공증 치료-보험 변화와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s, 이하 BP) 사용 범위'를 주제로 발표했다. 폐경 여성은 에스트로겐이 감소해 골밀도가 급격히 낮아지고 골다공증 위험이 커지므로, 정기적으로 이를 검사하고 관리 받아야 한다. 한국오가논의 포사맥스를 비롯한 BP 제제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골다공증 치료제이나, 그동안은 T-값이 -2.5를 초과하면 급여 혜택이 중단돼 치료를 이어가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이 교수는 올해 5월 확대된 골다공증 치료제의 건강보험 급여 기준과 이로 인한 치료 환경의 변화를 상세히 설명했다. 

이 교수는 “포사맥스를 비롯한 골다공증 치료제의 급여 기준이 개정돼 치료 후 T-값 이 -2.5보다 높고 -2.0 이하인 환자도 최대 2년까지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으며, 이는 골다공증 치료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더 많은 환자가 적시에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됐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좌장을 맡은 김미란 교수는 “폐경기 여성은 호르몬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골다공증, 심혈관질환 등의 건강 문제를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하나, 실제 우리나라의 호르몬 치료율은 매우 낮은 수준이다”라며, “실제 국내 만 40~69세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폐경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심한 폐경 증상을 경험한 여성 중 실제 진료를 받은 이들은 10명 중 3명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STEAR 제제인 리비알의 차별성과 포사맥스를 포함한 골다공증 치료제의 급여 확대 의미가 잘 전달되었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폐경기 치료에 대한 인식이 지속적으로 개선돼, 더 많은 여성이 증상 개선과 합병증 예방을 위한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국오가논 김소은 대표는 "폐경기에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신체 변화는 여성의 활력을 떨어뜨리고 이후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이는 개인과 가정을 넘어 큰 사회적 손실로 이어진다”며 “최근 중년 여성의 활발한 사회 및 경제활동의 중요성이 더욱 주목받고 있는 만큼, 많은 여성들이 폐경기 증상을 잘 관리하여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폐경으로 인한 호르몬 변화는 안면홍조나 수면장애와 같은 즉각적인 증상뿐 아니라, 골다공증이나 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의 위험도 높이는 만큼, 인생의 전환점을 맞이하는 폐경기 여성을 위해 앞으로도 폐경기 관리의 중요성을 알리는 다양한 활동을 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오가논은 11월 폐경 여성의 달에 앞서 지난 10월에는 '변화, 더 건강한 일상을 만들다'를 주제로 한 'Take the mic' 인터뷰 시리즈에서 김미란 교수와 함께 '폐경이행기, 폐경 여성의 현명한 건강관리'를 주제로 한 영상을 공개하며, 일반 대중과도 활발히 소통하고 있다.


■한국알콘,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기업’ 3년 연속 선정

안과 전문 기업 알콘은 지난 11월 27일 글로벌 신뢰경영 평가기관 GPTW(Great Place to Work Institute)가 주관하고 GPTW 코리아가 선정하는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기업’ 인증을 3년 연속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  

GPTW 특별 부문에서는 ‘대한민국 밀레니얼이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과 ‘대한민국 여성 워킹맘이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에 선정돼, 한국알콘은 올해 총 3개 부문에서 동시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GPTW는 전 세계 150개국에서 동일한 글로벌 기준을 바탕으로 일하기 좋은 기업을 평가하고 선정하는 글로벌 컨설팅 기관으로, 임직원들이 직접 참여하는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한다. 한국알콘은 △믿음 △존중 △공정성 △자부심 △동료애 등 5가지 항목을 평가하는 설문 전반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했다. 특히 ‘여성 워킹맘이 일하기 좋은 기업'과 ‘밀레니얼이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 인증은 각각 여성 직원과 만 19~34세 사이의 밀레니얼 세대 직원의 신뢰 지수가 반영되며, ‘여성 워킹맘이 일하기 좋은 기업’ 인증의 경우 여성 관리자 및 임원 비율이 반영된다. 한국알콘은 2023년에도 ‘대한민국 여성 워킹맘이 일하기 좋은 기업’과 ‘대한민국 밀레니얼이 일하기 좋은 기업’으로 동일하게 선정된 바 있다.
 
한국알콘은 직원 개개인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는 가치를 실현하고자 상호존중, 화합, 다양성과 포용을 주제로 한 다양한 이니셔티브를 바탕으로 더 나은 일터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다양성과 포용성이 바탕이 된 조직문화를 구축하기 위해 직원 모두가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하고 건의사항을 논의할 수 있는 '스피크 업(Speak Up)' 문화를 지향한다.
 
그 일환으로 한국알콘은 ‘직원경험 지수조사(Associate Experience Dashboard)’를 연 2회 정기적으로 시행해 업무 환경에 대한 직원들의 의견 및 건의사항을 수렴하고 있다. 또한 알콘은 직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조직인 알루미(알콘의 도우미, Alumi)의 목소리를 통해 노사가 함께 사내 문화를 강화해 나가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유연근무제, 매달 셋째 주 금요일 오전 단축 근무를 장려하는 ‘리프레쉬 데이(Refresh Day)’, 꽃꽂이, 요리, 독서 등 취미 활동을 독려하는 사내 동호회 활동 지원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조식 서비스 및 스낵바 운영을 비롯해 직원과 그들 직계 가족을 위한 정신 건강 상담이나 재무 교육 및 법률 자문 등 모두 알루미와 회사가 협의한 결과다.
 
한국알콘 인사부 이지영 본부장은 “3년 연속 일하기 좋은 기업으로 선정돼 감회가 새롭다. 알콘은 직원 개개인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기업 문화를 만들기 위해 서로 존중하고, 함께 성장하며,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가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방향에 임직원 모두가 공감하고, 적극 동참해주었기에 더욱 의미가 있다.”며 “알콘은 직원의 성장이 곧 회사의 성장이라고 믿는다. 앞으로도 직원 중심 문화를 더욱 발전시키고, 인류의 밝은 시야를 위해 전념할 수 있는 더 나은 근무 환경을 조성하고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알콘은 성별이나 경력, 연령 등에 대한 편견 없이 모든 직원이 존중 받고 성장할 수 있는 조직 문화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하고 있다. 실제로 한국알콘에서 10년 이상 장기근속한 직원 비율은 40%에 이르며, 여성 임원 비율도 약 43%로 업계 평균을 상회할 정도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일례로 다양한 계층별 리더십 교육을 정기적으로 진행하는 한편, ‘여성 리더십 위원회(Women's Leadership Council)’를 구성하고 직원들이 커리어 개발에 대한 고민과 조언을 나눌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최근에는 장애인 고용을 촉진하는 사회적 기업 ‘베어베터(Bear Better)’와 파트너십을 맺고 직원들의 명함 제작 및 경조사 지원 서비스를 이용을 통해 장애인들의 지속가능한 고용을 지원하고 있다.

 

■GC녹십자의료재단,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구축사업’ 수행기관 선정

GC녹십자의료재단(대표원장 이상곤)이 지난 9일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구축사업’의 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구축사업(사업단장 백롱민)은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질병관리청이 참여하는 범부처 사업으로, 임상정보, 유전체데이터, 공공데이터, 개인보유건강정보를 수집 및 연계하여 R&D 인프라로서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GC녹십자의료재단은 이번 사업에서 연구책임자인 전유라 진검센터 부서장 겸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를 필두로 ‘인체자원 제작 및 검체 운송’ 분야에서 과제를 수행한다.

최근 바이오 빅데이터가 중요한 국가 전략 자산으로 떠오르는 가운데, 이번 사업은 2028년까지 1단계로 국민 약 75만 명의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해 의료, 산업, 학계에 제공함으로써 신약 및 의료기기 개발, 질병 예방과 개인 맞춤형 의료에 활용하고자 추진됐다. GC녹십자의료재단은 국내 대표 검체 검사 전문 수탁기관으로서 검체의 처리, 보관 및 관리에 대한 전문성과 체계적인 자체 검체 운송 물류 시스템을 기반으로 성공적인 사업 완수에 기여할 방침이다.

GC녹십자의료재단은 향후 5년간 총 580억 원 내외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검체 자원화 단계별 SOP 마련 및 고도화 △인체자원 제작, 품질관리, 임시 보관 △검체 수집 관련 운영지원 및 질 관리 프로그램 운영 △검체 운송 등의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특히, GC녹십자의료재단은 금번 과제 수행 시 최첨단 자동화 검사 시스템과 인체유래물은행 설립 및 다년간의 자원 제작 경험을 통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인체자원 제작 및 관리를 제공하고, 실시간 온도 모니터링 및 위치 추적 기능을 탑재한 검체 운송 전용 차량을 통해 보다 안정적인 검체 운송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책임자인 전유라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는 "본 사업으로 보관된 모든 인체자원이 국가의 자산이자 자랑이 될 수 있도록 GC녹십자의료재단의 모든 역량을 동원하여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상곤 GC녹십자의료재단 대표원장은 “정밀 의료의 핵심 기반이자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 선점에 필수적인 바이오빅데이터구축사업에 GC녹십자의료재단이 일조하게 되어 기쁨과 동시에 깊은 책임감을 느낀다”며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재단의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며, 이를 통해 데이터 기반의 혁신적인 연구성과가 창출되고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타그리소, 절제 불가능 3기 EGFR 변이(Ex19del, L858R 치환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 적응증 획득

한국아스트라제네카(대표이사 및 사장 전세환)의 타그리소가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에서 새로운 적응증을 획득했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대표이사 및 사장 전세환)는 지난 12월6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타그리소 (성분명 오시머티닙)’가 절제 불가능한 3기 EGFR 변이(Ex19del, L858R 치환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 치료에 대한 적응증을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허가로 EGFR 엑손 19 결손 또는 엑손 21(L858R) 치환 변이가 있고 백금 기반 항암화학-방사선요법(CRT) 중 또는 후에 질병이 진행되지 않은 절제 불가능한 국소 진행성(III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치료에 타그리소 단독요법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미국 FDA 로부터는 혁신치료제로 지정된 후 올해 9월 허가를 받았다.
 
타그리소 적응증 확대의 근거가 된 LAURA 연구는 백금 기반 항암화학-방사선요법 후 질병이 진행되지 않은 절제 불가능한 3기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무작위배정, 이중 맹검, 위약 대조, 다기관, 글로벌 3상 임상시험이다. 해당 결과는 올 해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발표되었으며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게재되었다.
 
LAURA 결과, 독립적 중앙 맹검 평가(BICR)에서 타그리소는 위약 대비 질환의 진행 또는 사망 위험을 84% 감소시켰다(HR 0.16; 95% CI 0.10-0.24; p<0.001). 타그리소군의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mPFS)은 39.1개월로 위약군(5.6개월)보다 33.5개월이 연장되었다. 2차 평가변수인 전체 생존율(OS) 데이터는 아직 미성숙 상태이다.
 
LAURA 임상 시험에서 확인된 안전성과 내약성은 기존 각 치료의 안전성 프로파일과 유사했으며 새로운 안전성 문제는 확인되지 않았다.
 
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김혜련 교수는 “LAURA 임상 시험에서 타그리소군의 무진행 생존기간은 39.1개월로 3년 이상의 생존 이점을 확인했다. 이번 식약처 승인으로 그동안 표적치료제 옵션이 없었던 절제불가능 3기 EGFR 변이(Ex19del, L858R 치환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이 타그리소 치료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타그리소는 절제불가능한 3기 EGFR 변이(Ex19del, L858R 치환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 의학부 임재윤 전무는 “이번 적응증 확대로 모든 병기의 EGFR 변이(Ex19del, L858R 치환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타그리소 사용이 가능하게 됐다. EGFR 변이(Ex19del, L858R 치환변이) 비소세포폐암의 백본 치료제(back bone)로 타그리소의 가치가 더욱 공고해질 것이라고 자신한다. 아스트라제네카는 타그리소의 혁신적 치료 가치를 기반으로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타그리소는 EGFR 변이(Ex19del, L858R 치환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중 가장 폭넓은 적응증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EGFR 엑손 19 결손 또는 엑손 21(L858R) 치환 변이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1 차 치료(단독요법) △EGFR 엑손 19 결손 또는 엑손 21(L858R) 치환 변이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편평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1차 치료에서 페메트렉시드와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과 병용 요법 △이전에 EGFR-TKI 로 치료 받은 적이 있는 EGFR T790M 변이 양성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치료 △EGFR 엑손 19 결손 또는 엑손 21(L858R) 치환 변이된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완전 종양 절제술 후 보조 치료에 허가되어 있다. 

올 해 미 FDA와 식약처의 절제 불가능한 3기 EGFR변이(Ex19del, L858R 치환변이) 비소세포폐암에서 백금 기반 항암화학-방사선요법 도중 또는 이후 질병이 진행되지 않은 환자 대상 타그리소 사용 승인으로 5번째 적응증을 획득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 ‘건강친화기업’ 인증 및 보건복지부 장관상 수상

SK바이오사이언스는 10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4 건강친화기업 인증식’에서 건강친화기업으로 인증되고 동시에 관련 우수 기업으로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건강친화기업 인증과 함께 장관상을 수상한 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최초다.
 
건강친화기업 인증은 국민건강증진법에 의거, 직장 내 근로자 건강증진을 위해 문화와 환경을 조성하고 모범적으로 제도를 운영하는 기업을 시상하는 제도다. 인증은 경영방침, 직원만족도 등 5개 분야 22개 심사항목과 근로시간 준수, 산업안전보건위 운영 등 16개 인증기준을 충족한 기업을 대상으로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의 현장평가 등 까다로운 검증 절차를 거쳐 부여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판교 본사와 안동 공장 모두에서 근로기준법, 산업안전보건법 등 관련 법규를 철저히 준수하고 다양한 건강친화제도를 적극적으로 운영한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실제 SK바이오사이언스는 △구성원 대상 독감, 대상포진 등 무료 예방접종 프로그램 실시 △구성원 수요 조사를 통한 비만, 금연, 걷기 등 맞춤형 건강 프로그램 장려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교육 확대 및 정례화와 같은 차별화된 건강문화 조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또 회사의 건전한 건강문화를 지역사회로 확산시키기 위해 임직원 참여 사회공헌활동인 초등학생 대상 감염병 예방교육 ‘행복방파제: 씈(SK)싹씈싹 스쿨’을 실시하고 SK디스커버리 주요 계열사들과 함께 정기적인 헌혈 캠페인도 진행하고 있다.
 
이번 건강친화기업 인증에 따라 SK바이오사이언스는 향후 3년 간 △취업포털 내 인증기업 전용 채용관을 통한 우수인재 채용 △정부 인증제도 참여시 가산점 부여 △건강친화인증 로고 사용 △관련 컨설팅 및 교육 프로그램 지원 △법무부 출입국 우대카드 발급 등의 혜택을 받게 된다.
 
SK바이오사이언스 김창신 SHE 담당은 “대한민국 대표 제약·바이오 기업으로서 구성원과 이해관계자들의 건강한 삶을 추구한다는 것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과 같은 의미”라며 “앞으로도 직장 내 다양한 건강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구성원들의 참여를 독려해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을 선도하는 건강친화기업이라는 명성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SK바이오사이언스는 앞서 국내 최고 수준의 생물보안 및 안전관리 역량을 입증하며 지난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시험·연구용 LMO(유전자 변형 생물체) 안전관리 우수기관 장관상과 산업통상자원부의 생물보안 관리 우수기관 장관상을 수상, 잇단 정부 포상의 영예를 누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